Visual Merchandising 전략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의류 브랜드 매장을 중심으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양진숙 | - |
dc.date.accessioned | 2021-06-23T11:41:12Z | - |
dc.date.available | 2021-06-23T11:41:12Z | - |
dc.date.created | 2021-01-22 | - |
dc.date.issued | 2011-06 | - |
dc.identifier.issn | 1598-6497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8939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류업체의 VMD 전략을 조사한 후 이들 변인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는데 있다. 또한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기업의 VMD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VMD 동향과 학문적 배경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고, 실제 소비자들의 구매 행동은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VMD요소와 구매행동 간 상관성에 대하여 조사한 내용을 분석, 고찰하여 결과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소비자 대상 설문에 있어 VMD전략시의 VMD요소로서 윈도우 디스플레이와 인테리어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제한하여 조사, 연구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응답자 표본은 의류를 구매하는데 사용하는 금액은 1개월에 10-20만원, 의류 매장 방문 횟수는 1개월에 한 번 정도 방문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윈도우 디스플레이와 구매행동에 대한 상관성에 있어서는, 윈도우 디스플레이와 브랜드 이미지 간에 상관성이 있다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윈도우 디스플레이가 마음에 들어 매장에 들어가거나, 상품을 산 적이 있는 응답자가 많아 윈도우 디스플레이는 구매행동과 큰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테리어 디스플레이가 브랜드나 상품의 이미지를 나타낸다고 생각하는 사람과 인테리어 디스플레이가 상품에 대한 정보를 준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 인테리어 디스플레이와 구매행동 간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스토어 디스플레이와 구매행동 간 상관성에 있어서는, 매장 의류 디스플레이가 마음에 들어 상품을 구입한 적이 있는 사람이 많아 상관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머천다이징 프레젠테이션(MP)에 있어서는, MP 모두 소비자의 의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VP와 PP 보다는 IP방식을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구매 시 62%의 응답자가 동반자와 항상 같이 쇼핑을 하고 있으며 동반자의 의견을 따르는 사람이 많아 의류 구매행동에 있어 동반자의 의견 또한 중요한 변수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가진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아 매장 실적을 올리기 위해서는 매장VMD 연구가 더 깊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 | - |
dc.publisher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 |
dc.title | Visual Merchandising 전략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의류 브랜드 매장을 중심으로- | - |
dc.title.alternative | A Research on Influence of VMD Strategy of Brand Store on Purchase Behavior of Consumer -Focusing on Fashion Brand Store- | - |
dc.type | Article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양진숙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17, no.2, pp.339 - 348 | - |
dc.relation.isPartOf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 |
dc.citation.title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 |
dc.citation.volume | 17 | - |
dc.citation.number | 2 | - |
dc.citation.startPage | 339 | - |
dc.citation.endPage | 348 | - |
dc.type.rims | ART | - |
dc.identifier.kciid | ART001560495 | - |
dc.description.journalClass | 2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VMD Strategy(VMD전략) | - |
dc.subject.keywordAuthor | Fashion Brand Store(의류브랜드 매장) | - |
dc.subject.keywordAuthor | Merchandising Presentation(머천다이징 프레젠테이션) | - |
dc.subject.keywordAuthor | Visual Merchandising(비주얼 머천다이징) | - |
dc.subject.keywordAuthor | Consumer Purchasing Behavior(소비자 구매행동) | - |
dc.subject.keywordAuthor | Store Display(스토어 디스플레이) | - |
dc.identifier.url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42409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