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를 활용한 경상도 지역의 가뭄위험도 평가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박종용 | - |
dc.contributor.author | 유지영 | - |
dc.contributor.author | 최민하 | - |
dc.contributor.author | 김태웅 | - |
dc.date.accessioned | 2021-06-23T11:41:41Z | - |
dc.date.available | 2021-06-23T11:41:41Z | - |
dc.date.issued | 2011-05 | - |
dc.identifier.issn | 1015-6348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8968 | - |
dc.description.abstract | 최근의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패턴의 변화는 우리나라에서 가뭄의 발생확률을 증가시키고 있다. 가뭄의 발생은 다른 자연재해와는 달리 지속기간이 길고, 피해지역이 광범위하여, 사회경제적으로 겪는 피해가 다른 자연재해보다 크다. 현재 가뭄의 심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기후학적 인자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가뭄지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학적 인자를 고려한 가뭄지수와 재해에 취약한 사회경제적 요소를 고려하여 가뭄위험지도를 작성함으로써 좀 더 현실적인 가뭄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상도 지역에 대한 가뭄의 공간적인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가뭄위험도를 노출성 지수와 취약성 지수의 결합으로 정의하여 분석하였다. 가뭄의 노출성 지수는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GIS를 기반으로 공간적 범위에 분포시켰으며, 가뭄의 취약성 지수는 사회경제적인 5가지 인자를 이용하여 산정하고, 표준화를 통하여 공간적 범위에 분포시켰다. 그 결과 대상지역인 경상도 내 시군구 지역별 가뭄에 대한 위험도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었으며, 같은 강도의 가뭄이 발생하여도 경상도 내 행정구역별 지역적 특성에 따라 가뭄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었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The change of rainfall pattern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increases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drought in Korea. Unlike other natural disasters, a drought has long duration, extensive area subject to damage, and greater socioeconomic damage than other disasters. In order to evaluate drought severity, meteorological drought indices are mainly used in practice. This study presents a more realistic method to evaluate drought severity considering drought climate factors as well as socioeconomic factors which are vulnerable to disaster. To perform a spatial evaluation of drought risk in Gyeongsang-do, drought risk was defined and analyzed through the hazard index and the vulnerability index. The drought hazard index was spatially assessed using the drought index and GIS. The drought vulnerability index was also spatially assessed using the 5 socioeconomic factors. As a result, the drought risks were compared and used for evaluating regional drought risk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yeongsang-do. | - |
dc.format.extent | 10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대한토목학회 | - |
dc.title | EDI를 활용한 경상도 지역의 가뭄위험도 평가 | - |
dc.title.alternative | Evaluation of Drought Risk in Gyeongsang-do Using EDI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doi | 10.12652/Ksce.2011.31.3B.243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대한토목학회 논문집B, v.31, no.3B, pp 243 - 252 | - |
dc.citation.title | 대한토목학회 논문집B | - |
dc.citation.volume | 31 | - |
dc.citation.number | 3B | - |
dc.citation.startPage | 243 | - |
dc.citation.endPage | 252 | - |
dc.identifier.kciid | ART001554362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drought risk | - |
dc.subject.keywordAuthor | drought hazard | - |
dc.subject.keywordAuthor | drought vulnerability | - |
dc.subject.keywordAuthor | drought risk map | - |
dc.subject.keywordAuthor | 가뭄위험도 | - |
dc.subject.keywordAuthor | 가뭄노출성 | - |
dc.subject.keywordAuthor | 가뭄취약성 | - |
dc.subject.keywordAuthor | 가뭄위험지도 | - |
dc.identifier.url |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101660925375&dbt=NART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