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시조 텍스트를 이용한 효율적인 글쓰기 교육전략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상진-
dc.date.accessioned2021-06-23T12:02:20Z-
dc.date.available2021-06-23T12:02:20Z-
dc.date.issued2011-02-
dc.identifier.issn1229-7429-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9023-
dc.description.abstract시조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학 양식이다. 이 논문은 그러한 시조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현대 사회로 접어들며 ‘소통’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글쓰기의 필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글은 생각의 표현이다. 그러므로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생각을 키워줄 수 있는 많은 독서량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글쓰기 수업에서 독서에 시간을 할애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랬을 때, 시조는 글쓰기 수업에서 긴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독서를 비롯한 다양한 글쓰기의 텍스트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시조를 글쓰기 텍스트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조의 고유성에 근거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시조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세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하여 글쓰기 텍스트로 삼았다. 모방형 시조, 연작형 시조, 결합형 시조가 그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유형은 글쓰기의 절차와 단계에 따라 활용할 때 더욱 효과적이다. 즉, 모방형 시조는 상상력을 발전시켜 글감을 모으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준비단계의 텍스트로서 의미를 지닌다. 연작형 시조는 계획단계에 적합하다. 즉 개요 및 단락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유용한 텍스트가 된다. 특히 여기서는 시조를 서사물로 변환시키는 요령이 필요하다. 결합형 시조는 실전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이것으로써 모든 단계의 실행이 가능한 종합적 텍스트의 역할을 한다. 결합형 시조는 학습자의 의도에 따라 시조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생각의 표현’이란 글쓰기 본연의 취지에 가장 적극적으로 부합된다. 본고의 주된 목적은 대학에서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시조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시조연구의 지평을 넓힘으로써, 시조의 연구에도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abstractSijo is the our country's leading literary form. In this paper, the writing class will be on strategies to take advantage of Sijo. In modern society, ‘communic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t is associated with the importance of writing has been emphasized. Writing is an expression of thought. Therefore, to write a good article, should cultivate the power of thought. If you think to raise the power of thought then you should read lots of books. But writing in class is not easy to spend time to read. In this case, sijo can be a good text. To take advantage of the text as a writing Sijo, should be based on the uniqueness of sijo. In this paper, sijo categorized into the three types. So on and I want to be writing of the text. It is that Mimetic sijo(모방형 시조), Series sijo(연작형 시조), Combined sijo(결합형 시조). These three types are the more effective us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writing. In other words, Mimetic sijo is effective in the preparation phase. This step is the process of collecting ideas. Series sijo is suitable for the planning stage. In this step, the constructs to table of contents and paragraph. In particular, the skills are needed that sijo into the narrative. Practical steps that will be used in Combined sijo. This types is combined according to the learner's intentions. So,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writing that is 'expression of thought. And, as this type of writing is to practice all the steps. So, this is a Complex tex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ffective writing instruction in a college courses. However, expected to be useful that research of sijo. That is to say, this study will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founder. In addition to expanding the prospect of sijo study. So, I should expect that this article is to contribute to sijo study.-
dc.format.extent30-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우리문학회-
dc.title시조 텍스트를 이용한 효율적인 글쓰기 교육전략-
dc.title.alternativeThe efficient writing education strategy on used a Sijo-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우리문학연구, no.32, pp 3 - 32-
dc.citation.title우리문학연구-
dc.citation.number32-
dc.citation.startPage3-
dc.citation.endPage32-
dc.identifier.kciidART001534011-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Writing education strategy-
dc.subject.keywordAuthorCommunication-
dc.subject.keywordAuthorUniqueness of sijo-
dc.subject.keywordAuthorMimetic sijo-
dc.subject.keywordAuthorSeries sijo-
dc.subject.keywordAuthorCombined sijo-
dc.subject.keywordAuthorexpression of thought-
dc.subject.keywordAuthor글쓰기 교육전략-
dc.subject.keywordAuthor소통-
dc.subject.keywordAuthor시조의 고유성-
dc.subject.keywordAuthor모방형 시조-
dc.subject.keywordAuthor연작형 시조-
dc.subject.keywordAuthor결합형 시조-
dc.subject.keywordAuthor생각의 표현-
dc.subject.keywordAuthorWriting education strategy-
dc.subject.keywordAuthorCommunication-
dc.subject.keywordAuthorUniqueness of sijo-
dc.subject.keywordAuthorMimetic sijo-
dc.subject.keywordAuthorSeries sijo-
dc.subject.keywordAuthorCombined sijo-
dc.subject.keywordAuthorexpression of thought-
dc.identifier.url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612553-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