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신규 미디어 서비스/기기 레퍼토리 구조 결정 요인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범수-
dc.contributor.author박주연-
dc.date.accessioned2021-06-23T14:04:40Z-
dc.date.available2021-06-23T14:04:40Z-
dc.date.issued2010-02-
dc.identifier.issn1598-3757-
dc.identifier.issn2734-0201-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034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신규 미디어 서비스 및 기기 레퍼토리 결정 요인 및 이에 따른 레퍼토리 이용 집단 간 판별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규 미디어 서비스 및 기기 이용 다양성 결정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혁신성, 개인연결망, 사회적 영향력, 인구사회 변인, 미디어 이용 정도 등을 선행 변인으로 투입한 회귀모델을 적용한 결과 개인 연결망이나 사회적 영향력 변인,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미디어 이용 정도 변인들 모두 부분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규 미디어 서비스 및 기기 채택 또는 비채택 이용자를 판별하는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신규 미디어 서비스는 지상파TV 시청 정도와 연령, 가처분 소득 등이 유의미했으며 신규 미디어 기기는 소득 변인을 포함해 신문, 인터넷, 라디오 이용 정도가 유의미한 판별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규 미디어 서비스 및 기기를 다수 채택/비채택하는 이용자 판별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신규 미디어 서비스는 개인연결망이나 사회적 동질감, 그리고 개인별 가처분 소득 등이 유의미한 판별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디어 기기 다수 채택/비채택 판별 요인은 개인 연결망 및 사회적 동질감, 성별이나 연령, 개인별 가처분 소득 등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was attempting to identify determinants of media repertoires based on new services and technologies. Using the regression and discriminant models, this study examined determinants that included five independent factors such as the degree of innovation, social networks, social influences, demographic variables and media uses. The analyses revealed that all of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the degree of innovation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media repertoires. Secondly, the results of discriminant analyses showed that terrestrial television use, age, disposable income were significant factors discriminating new media service adopters from the sample. For new media related technologies adopters, family income, and media uses such as newspaper, Internet and radio were significant discriminant variables.-
dc.format.extent19-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언론정보학회-
dc.title신규 미디어 서비스/기기 레퍼토리 구조 결정 요인-
dc.title.alternativeDeterminants of Media Repertoires based on New Services and Technologies-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언론정보학보, v.49, no.1, pp 20 - 38-
dc.citation.title한국언론정보학보-
dc.citation.volume49-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20-
dc.citation.endPage38-
dc.identifier.kciidART001419404-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미디어 서비스 레퍼토리-
dc.subject.keywordAuthor혁신성-
dc.subject.keywordAuthor사회적 영향력-
dc.subject.keywordAuthormedia repertoires-
dc.subject.keywordAuthordiffusion of innovation-
dc.subject.keywordAuthorsocial influence-
dc.identifier.url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372354-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 > DEPARTMENT OF MEDIA & SOCIAL INFORMATIC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n, Bum Soo photo

Chon, Bum Soo
ERICA 커뮤니케이션&컬처대학 (ERICA 미디어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