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사이니지 환경에서 어포던스 특성에 따른 시그니파이어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위의전 | - |
dc.contributor.author | 김성훈 | - |
dc.date.accessioned | 2021-06-22T10:42:19Z | - |
dc.date.available | 2021-06-22T10:42:19Z | - |
dc.date.issued | 2019-09 | - |
dc.identifier.issn | 1598-6497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055 | - |
dc.description.abstract | 최근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은 소비 환경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한 예로 오프라인 매장에서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무인 결제 시스템이 늘어나는 것을 살펴볼 수 있는데, 이러한 환경에 익숙지 않은 소비자에게는 오히려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디지털 사이니지 환경에서 어포던스 특성에따른 시그니파이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이론적 고찰을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개념과현황을 살펴보고 최근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무인 결제 시스템에 대한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어포던스와 시그니파이어에 대한이해를 제시하였으며, 시그니파이어 구성 요인으로 하트슨의 어포던스 이론에 기반 하여 감각 기표, 인지기표, 피지컬 기표, 기능 기표 4가지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인을 바탕으로 사례 분석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무인결제시스템이 활성화된 대형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5곳을 선정하여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결과 대부분의 매장에서 청각 요소가 사용되지 않은매장이 많아 다양한 소비자 형태를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공되는 정보 양에 비해 텍스트위주의 정보 전달은 이용 시간을 지체한다는 점, 기능기표에 대한 정보 전달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디지털 환경에 익숙지 않은 소비자를 고려하지 않았다는문제점이 나타났으며, 주문 순서가 프랜차이즈 별로상이하여 어느 정도 통일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시그니파이어를 추가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보다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도록 시스템 디자인이 개선되어야 할것이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Recently, the developments in digital media have greatly changed the consumption environment. As an example, in off-line stores, we can see the number increase of unmanned payment systems that use digital signage. However, for those who are not familiar with such a system, it can be rather an obstacle. Therefore, in this study, I have investigated the signifier based on affordance characteristics in the digital signage environment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First, I examined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digital signage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and found the problems of unmanned payment system with increasing use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 proposed the concept understanding of affordance and signifier. Also, based on Hartson’s affordance theory, I derived four signs as a factor of signifier: sensual sings, cognitive signs, physical signs, and function signs. Based on the derived signs, I constructed a case analysis model. And I conducted the case analysis, selecting the five stores of fast food franchise with the unmanned payment system. As a result, I found the following problems. 1. Auditory elements were not used in most of the stores, so they did not consider the various consumer desires 2. Text-oriented information delivery wastes a lot of time considering the large amount of information 3. Information about function signs was hardly transmitted, so they did not consider the users who were not familiar with the digital environment So, I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purchasing order to some extent since the order differs depending on the franchisor.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ystem design should be improved so that the user’s behavior can be more smoothly guided by adding appropriate signifiers. | - |
dc.format.extent | 9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 |
dc.title | 디지털 사이니지 환경에서 어포던스 특성에 따른 시그니파이어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Signifier Based on Affordance Characteristics in the Digital Signage Environment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doi | 10.18208/ksdc.2019.25.3.309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5, no.3, pp 309 - 317 | - |
dc.citation.title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 |
dc.citation.volume | 25 | - |
dc.citation.number | 3 | - |
dc.citation.startPage | 309 | - |
dc.citation.endPage | 317 | - |
dc.identifier.kciid | ART002505681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Digital Signage(디지털 사이니지) | - |
dc.subject.keywordAuthor | Affordance(어포던스) | - |
dc.subject.keywordAuthor | Signifier(시그니파이어) | - |
dc.identifier.url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216625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