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콘크리트의 화학적 특성을 고려한 철근 부식 임계 염소이온 농도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하원-
dc.contributor.author정민선-
dc.contributor.author안기용-
dc.contributor.author이창홍-
dc.date.accessioned2021-06-23T16:03:16Z-
dc.date.available2021-06-23T16:03:16Z-
dc.date.created2021-02-18-
dc.date.issued2009-01-
dc.identifier.issn1015-6348-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144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혼합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고정화 능력, 수화물의 부식 억제 능력(Buffering capacity) 및 모르타르 내 철근 부식 측정을 통하여 콘크리트 내 철근 부식의 임계 염소이온 농도를 도출하였다. 실험 시 결합재로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30% 플라이애시(PFA), 60% 고로슬래그 미분말(GGBS), 10% 실리카퓸(SF)를 치환한 혼합 시멘트를 사용하였다. 염소이온 고정화는 수분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시멘트의 부식 억제 능력은 결합재에 따른 산에 대한 저항성 측정을 통해 평가하였다. 염소이온이 함유된 모르타르 내 철근 부식은 재령 28일에 선형 분극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염소이온 고정화 능력은 결합재 내의 C₃A 함유량과 물리적 흡착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염소이온 고정화 정도는60% GGBS > 30% PFA > OPC > 10% SF 의 순으로 나타났다. pH 감소에 따른 시멘트의 부식 억제 능력은 같은 pH 값에서 결합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부식전류가 0.1-0.2 ㎂/㎠에 이를 때 부식이 발생한다는 가정하에, 부식에 대한 임계 염소이온 농도에 대하여 OPC는 1.03, 30% PFA는 0.65, 60% GGBS는 0.45, 10% SF는 0.98%로 각각 계산되었다. 그에 비해 임계 염소이온 농도의 새로운 표현방법으로 제시한 [Cl?]:[H?] 몰 농도비의 단위로 계산하였을 때, 임계 염소이온 농도는 결합재에 관계없이 0.008-0.009로 도출되었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대한토목학회-
dc.title콘크리트의 화학적 특성을 고려한 철근 부식 임계 염소이온 농도-
dc.title.alternativeChloride Threshold Value for Steel Corrosion considering Chemical properties of Concrete-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안기용-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29, no.1A, pp.75 - 84-
dc.relation.isPartOf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dc.citation.title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dc.citation.volume29-
dc.citation.number1A-
dc.citation.startPage75-
dc.citation.endPage84-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1313462-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Chloride threshold level-
dc.subject.keywordAuthorChloride binding capacity-
dc.subject.keywordAuthorBuffering capacity-
dc.subject.keywordAuthor[Cl⁻]:[H⁺]-
dc.subject.keywordAuthor임계 염소이온 농도-
dc.subject.keywordAuthor염소이온 고정화 능력-
dc.subject.keywordAuthor부식 억제 능력-
dc.identifier.url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239957-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 >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ANN, KI YONG photo

ANN, KI YONG
ERICA 공학대학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