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웨딩박람회의 공동브랜드 필요성에 관한 연구 - 국내 공동브랜드 박람회 사례 중심으로 -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지성-
dc.contributor.author배은혜-
dc.date.accessioned2021-06-23T16:04:21Z-
dc.date.available2021-06-23T16:04:21Z-
dc.date.issued2009-12-
dc.identifier.issn1598-6497-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1490-
dc.description.abstract웨딩문화가 전문화되고 다양화됨에 따라 웨딩박람회의 기능과 역할도 더욱 증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전시회, 엑스포 등 이벤트성 행사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알뜰하게 준비하는 예비 신부 신랑을 위해서 개최된 웨딩박람회의 개선을 위해 공동브랜드를 제안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웨딩박람회에 참가하는 기업들의 홍보 컨셉은 자사의 제품을 독자적으로 소비자들에게 홍보하는 형태였기 때문에, 타사와의 지나친 경쟁을 야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박람회와 기업전시관을 통한 홍보는 기업의 매출,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매우 효과적인 것은 사실이므로 앞으로도 웨딩박람회에서도 이와 같은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므로 연구의 목적은 웨딩박람회의 공동 체계를 구축함과 효과적인 웨딩 브랜드 이미지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웨딩박람회 SWOT 분석과 공동브랜드 개선방향 분석 비교를 통해 향후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연구 방법은 박람회와 공동브랜드에 대한 이론을 이해하고, 새로운 공동브랜드가 웨딩업체의 판매와 브랜드 홍보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중소기업의 경우는 홍보를 위한 비용부담이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비용절감과 홍보를 위한 기술적 핸디캡을 극복하기 위해, 상호 보완적인 차원에서 웨딩박람회 참가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해결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써 동일업종의 기업들이 박람회 공동 전시관을 마련하여 하나의 공동브랜드로 협력한다면, 일차적으로 기업독자적인 브랜드보다는 공동브랜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다음으로는 소비자들의 수요와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구매의욕을 촉진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웨딩박람회 공동브랜드의 필요성과 문제점을 재분석하고 새로운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e specialized and diverse culture Wedding fair features and even more to increase the role and associated with the exhibition which fair is growing importantly such as events, Expo, and Exhibition.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for offering the bride and groom to prepare sparingly with Wedding Fair and held jointly for the betterment of the brand. So far, most companies promoted the products to consumers for their own Wedding fair's concept to participate because it was the form of publicity and party with quite a few cases. It did not cause too much competition. However, it is true that business market and their image are effectively improving lasting and in future, like above, it is expected that a trend will be going on. Since marketing strategies in the wedding fair such as poor conditions, it is necessary to analyze its problems and to seek the improbable ways. Range of this project is : SWOT analysis about Wedding fair and comparison it with the direction of improving co-brand in the future for help to recognize reared. The Method of project and background theory to understand for co-brand and concept of Wedding Fair. Also, I 'd like to analysis the new concept of co-brand sales and brand promotion of the Wedding party effectively could affect the review about. The problems are the cost for the promoting and technical handicaps to overcome, and complementary dimension to participate in the Wedding Fair to explore the new concept necessary. Therefore, as a method that is able to resolve this problem, if the similar kinds of industries will combine with thier brand and a joint exhibition hall, they can have competitively at the first, and the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tivation that is able to make promotion of customer's interest and effectively communicate product information as well as the customer's demand. Thus, in this paper, on the base of reanalysis on the necessity of co-brand in the wedding fair, it tried to propose a new advanced direction.-
dc.format.extent10-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디자인문화학회-
dc.title웨딩박람회의 공동브랜드 필요성에 관한 연구 - 국내 공동브랜드 박람회 사례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Co-brand Necessity through the Wedding Fair - Focusing on the Case of Domestic Co-brand Fair --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15, no.4, pp 384 - 393-
dc.citation.title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dc.citation.volume15-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384-
dc.citation.endPage393-
dc.identifier.kciidART00139951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Cooperative Brand (공동브랜드)-
dc.subject.keywordAuthorExposition (박람회)-
dc.subject.keywordAuthorWedding Exposition (웨딩박람회)-
dc.subject.keywordAuthorCooperative Brand (공동브랜드)-
dc.subject.keywordAuthorExposition (박람회)-
dc.subject.keywordAuthorWedding Exposition (웨딩박람회)-
dc.identifier.url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42124-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JI SUNG photo

SONG, JI SUNG
COLLEGE OF DESIGN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