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확률론적 지진재해분석 및 국내 지진계수 개발 Part I: 新 확률론적 지진재해분석 기법 적용 및 검증Development of New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and Seismic Coefficients of Korea Part I: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of a Novel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Procedure
- Other Titles
- Development of New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and Seismic Coefficients of Korea Part I: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of a Novel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Procedure
- Authors
- 박두희; 정창균; 곽동엽
- Issue Date
- Dec-2009
- Publisher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 Keywords
-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Seismic hazard map; Earthquake scenario; Ground motion; 확률론적 지진재해분석; 지진재해도; 지진 시나리오; 지진파
- Citation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v.10, no.7, pp.103 - 109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Volume
- 10
- Number
- 7
- Start Page
- 103
- End Page
- 109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1519
- ISSN
- 1598-0820
- Abstract
- 확률론적인 지진재해분석(PSHA)은 지진원, 전파경로, 부지효과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특정 기간내에 특정 크기를 초과하는 지진동이 부지에 발생할 확률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PSHA은 전세계적으로 미래 발생할 지진동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PSHA와 동일한 결과를 계산하지만, 유한기간내에 발생하는 지진 시나리오와 이에 상응하는 지진파기록을 생성하는 新 PSHA 기법의 국내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新 PSHA으로 40,000년에 상응하는 가상의 지진기록을 생성하여 총 16,378개의 지진 시나리오를 생성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지진재해도를 생성한 결과, 新 PSHA은 상당히 정확하게 기존의 PSHA 결과를 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新 PSHA은 자체적으로 의미가 있다기 보다는 이의 결과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확률론적인 지진재해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생성된 지진기록은 동반논문에서 확률론적인 지진계수를 생성하는데 활용되었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 >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