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방송사 인사 제도 및 구성원 가치 유사성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전범수 | - |
dc.date.accessioned | 2021-06-23T18:07:07Z | - |
dc.date.available | 2021-06-23T18:07:07Z | - |
dc.date.issued | 2008-08 | - |
dc.identifier.issn | 1738-6195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2853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방송사별 주요 인사 제도 변화와 구성원들의 프로그램 제작 문화에 대한 가치를 살펴본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사 제도 측면에서 방송 3사는 큰 차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BS는 영국 BBC 방송사의 조직 개편을 내부 인사 제도 변화의 준거점으로 설정한 뒤 경제적 효율성 보다는 내부 조직의 개편 및 혁신을 위해 팀제 중심의 인사 제도를 도입, 운영해왔다. MBC는 끊임없는 인사 제도 혁신 및 회귀 과정이 반복되는 실험적 성격이 가장 강한 특성을 갖고 있었다. 이는 MBC가 상업적 공영방송이라는 위상으로 인해 공영성과 상업성을 절충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인사 제도를 실험해온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SBS의 인사 정책은 조직의 역사와 소유 구조의 특성상 경제적 효율성의 원칙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본의 NTV와 다른 방송사의 정책들을 부분적으로 도입하는 소극적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송사별 조직 구성원들 간의 가치 평가 차원을 살펴본 결과 지상파 방송 3사 구성원들은 부분적으로만 서로 차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BC 응답자들은 제작자의 자율성을 중요하게 평가하는 반면 KBS 응답자들은 방송의 역할을 프로그램에 반영하는 것이나 방송 독립성과 인사의 연계성 측면을, SBS 응답자들은 외부 제약이나 표현의 한계 인식에 대한 평가가 다른 방송사 조직 구성원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판별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판별함수 1에서는 공영방송사인 KBS와 MBC가 민영방송사인 SBS와 문화적 가치 체계가 부분적으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tried to examine how three terrestrial broadcasters were institutionalized by inter-organizational imitations.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focused on similarities in the structure of human resource system and cultural values among three Korean terrestrial broadcasters. In other words, this study raised questions about why and how three broadcasters including KBS, MBC and SB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their human resource system and members' cultural values. Using both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data, this research has examined differences or similarities of human resource system among three terrestrial broadcasters since 2000.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terrestrial broadcasters were different each other in terms of human resource system. Each broadcaster had own distinct characteristics for developing human resource system. Although MBC has experienced high degree of fluctuations in human resource system, SBS was relatively stable. In addition, there were a lot of arguments about the adoption of the team-based organization in KBS. Also the results of discriminant analysis showed that members or program production staffs in three broadcasters had a slightly different values. More specifically, members' values in public broadcasters including KBS and MBC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members in private broadcaster such as SBS. | - |
dc.format.extent | 28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 - |
dc.title | 지상파 방송사 인사 제도 및 구성원 가치 유사성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Similarities in the Structure of Human Resource System and Cultural Values among three Korean Terrestrial Broadcasters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doi | 10.22174/jcr.2008.45.2.103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언론정보연구, v.45, no.2, pp 103 - 130 | - |
dc.citation.title | 언론정보연구 | - |
dc.citation.volume | 45 | - |
dc.citation.number | 2 | - |
dc.citation.startPage | 103 | - |
dc.citation.endPage | 130 | - |
dc.identifier.kciid | ART001274309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Candi | - |
dc.subject.keywordAuthor | Structural Isomorphism | - |
dc.subject.keywordAuthor | Cultural Similarity | - |
dc.subject.keywordAuthor | Broadcasters | - |
dc.subject.keywordAuthor | 방송사 조직 | - |
dc.subject.keywordAuthor | 구조동형성 | - |
dc.subject.keywordAuthor | 제도주의 이론 | - |
dc.subject.keywordAuthor | 조직문화 | - |
dc.identifier.url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429607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