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안전개선사업의 공간적 범위에 따른 도로안전시설물의 효과도 비교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박규영 | - |
dc.contributor.author | 김태희 | - |
dc.contributor.author | 김성욱 | - |
dc.contributor.author | 이수범 | - |
dc.date.accessioned | 2021-06-23T21:39:42Z | - |
dc.date.available | 2021-06-23T21:39:42Z | - |
dc.date.issued | 2006-06 | - |
dc.identifier.issn | 1229-1366 | - |
dc.identifier.issn | 2234-4217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4853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도로안전개선사업의 공간적범위(지점단위/구간단위)에 따른 도로안전시설물의 효과도 비교를 목적으로 한 다. 분석자료는 전라북도 지역 국도를 대상으로 사고잦은지점개선사업과 국도17호선 구간안전개선사업 시행도로에 대한 사전;사후 사고자료와 도로;교통특성자료를 이용하였다. 경험적베이즈기법(Empirical Bayes;EB)을 이용한 시설물 별 효과도 산정모형을 구축하고, 비교를 위해서는 승산비(Odds Ratio)를 이용하여 상대효과도 산정기법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구간사업에서 설치한 안전시설물이 지점단위 개선사업보다 상대적으로 7.09%~77.27% 안전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의 공간적 범위에 상관없이 구간특성을 가지는 시설물인 중앙분리대와 가드레일은 상대효과도가 크지 않게 나타났으나, 대표적인 지점설치 시설물인 갈매기표지나 미끄럼방지포장 등은 구간사업에서 그 상대효과도가 매우 크게 나타나 향후 시설물 설치시 구간측면에서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았을 때 향후 안전시설물 설치와 같은 도로안전개선사업은 구간단위 사업이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road safety features by spatial scope; Spot & Section-based Safety Improvement Project. Empirical data was collected from black-spot study of Jeonbuk and "Traffic Safety Improvement Project on National Highway 17". Evaluation model of effectiveness was developed by using Empirical Bayes(EB) method. And Relative Effectiveness was measured by Odds Ratio. The result indicates that Section-based safety improvement was 7.09~ 77.27% more effective than the spot-based. It means that section-based improvement projects should be expanded whil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tion in spot based improvement. | - |
dc.format.extent | 12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대한교통학회 | - |
dc.title | 도로안전개선사업의 공간적 범위에 따른 도로안전시설물의 효과도 비교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대한교통학회지, v.24, no.4, pp 31 - 42 | - |
dc.citation.title | 대한교통학회지 | - |
dc.citation.volume | 24 | - |
dc.citation.number | 4 | - |
dc.citation.startPage | 31 | - |
dc.citation.endPage | 42 | - |
dc.identifier.kciid | ART001099545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구간단위안전개선사업 | - |
dc.subject.keywordAuthor | 도로안전시설물 | - |
dc.subject.keywordAuthor | 상대효과도 | - |
dc.subject.keywordAuthor | 경험적베이즈 | - |
dc.subject.keywordAuthor | 승산비 | - |
dc.subject.keywordAuthor | Section-based safety improvement project | - |
dc.subject.keywordAuthor | Road safety features | - |
dc.subject.keywordAuthor | Relative effectiveness | - |
dc.subject.keywordAuthor | Empirical bayes | - |
dc.subject.keywordAuthor | Odds ratio | - |
dc.identifier.url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500636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