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지방자치시대에 따른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형태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가로등디자인의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호금옥-
dc.contributor.author김경숙-
dc.date.accessioned2021-06-23T21:40:53Z-
dc.date.available2021-06-23T21:40:53Z-
dc.date.issued2006-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4931-
dc.description.abstract현대사회에 있어서 도시의 공간에서 공공시설물이 주는 영향은 인 간 의 삶 의 질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 다. 공공시설물은 도시경관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서 기능적 인 면뿐만 아니라 도시민들의 심미적인 부분까지도 형성해 나가 고 있다. 결국 랜드 마크를 통한 도시 및 가로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해 나가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며 도시공간에 생명을 불어 넣는 역할을 하는 가로시설물 중 가로등은 경관조성의 핵심적인 부분이며 지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관광자원개발의 핵심적 요소이다. 특히, 본격화되는 글로벌시대와 지방자치시대에 따라 지역마다의 특성화된 마케팅과 기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에 서,이에 따른 공공디자인의 지향 점을 살펴보고 국내외 가로등 사 례 분석을 통해 가로등에 대한 디자인적 흐름을 조명하며 이 에 대한 디자인 발전 및 개선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dc.format.extent4-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dc.title지방자치시대에 따른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형태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가로등디자인의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Public Facility Design under Local Self-Government Setting-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conference, pp 37 - 40-
dc.citation.title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conference-
dc.citation.startPage37-
dc.citation.endPage40-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other-
dc.subject.keywordAuthorPublic Facility Design-
dc.subject.keywordAuthorStreet Lamps-
dc.subject.keywordAuthorModeling-
dc.identifier.url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762051-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