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기상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향상을 위한 감성 경험 기반 UI 디자인 연구Research on Emotional Experience-based UI Design to Improve Use of Weather Applications

Other Titles
Research on Emotional Experience-based UI Design to Improve Use of Weather Applications
Authors
김다운김성훈
Issue Date
Mar-2019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Keywords
Weather Application(기상 애플리케이션); Emotional Experience (감성 경험); UI Design(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5, no.1, pp 29 - 38
Pages
10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ume
25
Number
1
Start Page
29
End Page
3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496
DOI
10.18208/ksdc.2019.25.1.29
ISSN
1598-6497
Abstract
스마트폰이 발전함에 따라 현대인들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정보의 많은 비중을 스마트폰을 통해 해결하고 있으며, 온라인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애플리케이션은 편안한 기능뿐만 아니라 흥미를 유발하는 감성적인 요소로사용자에게 다양한 경험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기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감성 경험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요소에 따라 기상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하고자하며, 이를 통해 디자인 측면에서 감성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1차적으로 감성 경험, UI 디자인, 감성 경험 기반 UI의 각 개념과이론을 고찰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감성 경험 요소와, UI 디자인 요소에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고 감성 경험기발 UI 요소를 도출하였다. 감성 경험 기반 UI 요소로는감각적 요소, 구조적 요소, 사고적 요소가 있으며, 세부적으로 감각적 요소에는 색상과 그래픽, 다중감각이 있으며, 구조적 요소에는 인터랙션과 스토리텔링, 사고적 요소에는 흥미유발, 피드백의 요소가 나타났다. 도출된 요소를 통해 앱 스토어, 구글 플레이의 기상 애플리케이션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최고매출 포함 차트 100에서 감성경험의 특징을 포함한 사례로 적합하다고 판단된 총 5개의 사례를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요소는 감각적 요소의 세부요소인‘색상’, ‘그래픽’ 이였으며, ‘다중감각’은 한 가지 애플리케이션에만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조적 요소는감각적 요소와 사고적 요소에 비해 미비하게 적용되어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사고적 요소의 ‘흥미유발’과 ‘피드백’은 각 3가지 사례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상 애플리케이션의 감성 경험 기반 UI 요소는 현재시각적 요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흥미유발과 감성 경험을 위해 기상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 분야의 기상애플리케이션 연구의 필요성을 재고할 수 있다.
As smartphones evolve, people process a majority of the daily required information through smartphones. As online markets become more active, the online applications (apps) present emotional elements that arouse user interest as well as the element of efficiency.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weather applications according to elements of user interface based on emotional experience as a way to improve the usability of weather applications, and to present directions that can improve the service satisfaction of emotional applications in term of design. Firstly, the study analyzes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emotional experience, UI design and emotional experience-based UI. The emotional experience-based UI elements includes sensory, structural and conceptual elements. In detail, the sensory elements include color, graphics and multiple senses. Structural elements include interaction and storytelling. And conceptual elements include interests and feedback. Based on the derived elements, the study selects and analyzes five cases that are deemed as suitable examples of emotional experience from the top 100 best-selling weather apps on App Store and Google Play’s weather apps. All cases have the ‘color’ and ‘graphic’ sensory elements in common. The ‘multiple senses’ element was shown in only one app. The structural elements were applied not as often as sensory and conceptual elements. The ‘interests’ and ‘feedback’ conceptual elements were shown in three cases. The study confirms that the emotional experience-based UI elements are based mostly on visual elements. The study also suggests the need for further study on weather apps in other technical fields to effectively offer weather information with increased user interest and emotional experience.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INTERACTIVE MEDIA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UNG HOON photo

KIM, SUNG HOON
COLLEGE OF DESIGN (DEPARTMENT OF INTERACTIVE MEDIA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