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가상 소셜네트워크 서비스(VR SNS)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소통관련 구성요소 적용을 중심으로 -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지원-
dc.contributor.author노승관-
dc.date.accessioned2021-06-22T11:01:18Z-
dc.date.available2021-06-22T11:01:18Z-
dc.date.created2021-01-22-
dc.date.issued2019-01-
dc.identifier.issn1976-1562-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52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VR SNS에 기존 SNS의 소통과 관련한 구성요소가 적절하게 적용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소통을 위한 메뉴의 추가 및 메뉴 디자인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VR SNS를 가장 쉽게 경험할 수 있는 SNS로서 Oculus Room, Vtime과 옥수수 VR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프로필, 친구관리, 개인콘텐츠 공간, 타인 콘텐츠타인 이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지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Vtime과 옥수수 VR에서 제공하는 프로필은 사용자의 기본적인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게 하지 못하고 사이버상에서의 한정된 정보만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개인의 콘텐츠 공간은 제공되지 않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타인의 누적된 활동을 파악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Facebook 계정과 연동되는 Oculus Room에서도 기존 Facebook 활동을 보는 기능을 제공되지 않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채팅 중심 VR SNS는 기존 SNS가 제공하는 소통관련 장점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VR SNS가 VR에서 아바타를 통한 채팅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하고 채팅을 단순히 경험하게 할 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서비스 구조에서는 오프라인에서의 지인끼리 미리 약속을 한 후 채팅을 경험할 수는 있지만 오프라인 지인끼리도 지속적인 VR SNS 활동을 할 수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VR SNS의 구성 원칙으로서 기기적 측면에서 VR SNS는 관계를 맺은 사람의 콘텐츠를 기존의 PC나 스마트폰에 비해 흥미있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할 것, 관계를 맺은 타인이 구축한 텍스트와 사진, 동영상, 링크, 그리고 3D 콘텐츠를 용이하게 볼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할 것, 정교한 입력에는 한계가 있는 VR 기기의 컨트롤러가 가진 정교한 입력의 한계를 극복하고 효과적인 개인 페이지 관리를 위해서 PC나 스마트폰과 연계되어 관리 및 파일 업로드가 가능할 것을 제시하였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dc.title가상 소셜네트워크 서비스(VR SNS)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소통관련 구성요소 적용을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VR Social Network Service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communication-related components--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노승관-
dc.identifier.doi10.25111/jcd.2019.66.2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v.66, pp.272 - 281-
dc.relation.isPartOf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dc.citation.title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dc.citation.volume66-
dc.citation.startPage272-
dc.citation.endPage281-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435137-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가상현실-
dc.subject.keywordAuthor소셜네트워크 서비스-
dc.subject.keywordAuthor소통요소-
dc.subject.keywordAuthorVirtual Reality-
dc.subject.keywordAuthorSocial Network Service-
dc.subject.keywordAuthorCommunication factor-
dc.identifier.url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665971-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INTERACTIVE MEDIA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No, Seung Kwan photo

No, Seung Kwan
COLLEGE OF DESIGN (DEPARTMENT OF INTERACTIVE MEDIA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