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고령 소비자를 위한 클린라벨 식품 패키지 디자인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우정-
dc.contributor.author김응화-
dc.date.accessioned2021-06-22T04:27:09Z-
dc.date.available2021-06-22T04:27:09Z-
dc.date.issued2021-03-
dc.identifier.issn1598-6497-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557-
dc.description.abstract코로나(COVID)-19로 인해 언택트(Untact) 소비문화가 확산되면서 전통적인 오프라인 시장에서 모바일과 온라인으로 소비패턴의 변화되고 있다. 그중에서만성 또는 기저질환이 있는 고령 소비자의 온라인 구매활동도 늘어나면서 구매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식품정보 및 품질에 의해 구매의사결정에 많은 영향(조세형 외, 2012)을 받는다. 특히 만성 또는 기저질환이 있는 고령 소비자의 경우 건강과 관련된 식품의 원재료, 함량 및 영양정보표시등의 정보 확인이 매우 중요하다. 유럽과 같이 소비의식이 높은 나라들은 건강관련정보를 소비자 중심의 시각적 표기법을 사용하는 클린라벨 디자인이 법제화 되었다. 한국은 2026년 초⋅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건강정보를 쉽고 편하게인지하여 건강한 노화를 유지하는 고령자 중심의 클린라벨 식품 디자인 연구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에와 있다. 본 연구는 건강정보를 시각화하는 클린라벨 식품패키지 디자인이 고령자의 식품구매의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55세 이상과 65세 이하의 남녀 고령자 총 105명을 실험참여자로 선정하였고 고령 소비자의 실증적 검증을 위해 아이트래커(Eye Tracker)를 사용하여 소비자의 디자인 선호도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로 고령화 세대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노화의 총체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식품 및 제품1)정보를 시각적 기표로 활용하는 디자인 방안이 필요함을 파악했다. 그러므로 실험조사의 분석결과를 통해고령 소비자의 시각적 주의를 통한 클린라벨 패키지디자인의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패키지 디자인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 즉, 브랜드, 친환경 관련 시각적 특성 및 마크, 영양함량표시, 원산지 정보, 제품 종류 관련 네이밍 등에서 차별적인 시각적 주의집중이 발생2)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서 고령 소비자의 구매의도 향상을 위한 식품 패키지 디자인 방안으로는 건강 기반의 친환경적 특성과 브랜드의 특성을 융합한 디자인 요소의 적용이 필요3)하다. 클린라벨을 강조한 패키지 디자인 요소의 적용은 향후 고령 소비자의 사회적, 신체적, 정신적 변화에 따른 제품 구매 니즈 충족에 긍정적이고 중요한 영향4) 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abstractAs the culture of consumption of Untact has spread due to COVID-19, consumption patterns alteration from traditional offline markets to mobile and online. Among them, online purchasing activities of older consumers with chronic or underlying diseases are also increasing, and food information and quality provided on the purchasing site are greatly affected by purchase decisions (Chosehyeong et al., 2012). In particular, for elderly consumers with chronic or underlying diseases, it is so important to check information such as raw materials, content, and nutrition information indicators of health-related foods. In countries with a high sense of consumption, such as Europe, clean-label design use consumer-centered visual notation was enacted. As Korea entered an aging society in early 2026, research on clean-label food design centered on the elderly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by recognizing health information ease and comfortably and maintaining healthy aging. This study attempted to observe whether clean label food package designs that visualize health information affect the food purchasing intentions of the elderly. For this, a total of 105 elderly males and females ages 55 to 65 were selected as test participants and consumer design preferences were tested using an Eye Tracker for the empirical verification of elderly consumers. This study realized the need for design plans that express food and product information as visual symbols to allow for the general management of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aging of an aging generation. Therefore, it looked into preferences of clean label package design through the visual attention of elderly consumers using the analysis results of test surveys.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differentiated visual attention occurred with the various elements that compose package design such as brand, eco-friendly visual characteristics and marks, nutrition content indications, country of origin information, and product type-related naming. Thus, food package design plans for the enhancement of the purchase intentions of elderly consumers need the application of design elements that fuse health-based eco-friendly characteristics and brand characteristics. The application of package design elements that emphasize clean labels is expected to have positive and important effects on product purchasing needs satisfaction following the social, physical, and mental changes of elderly consumers in the future.-
dc.format.extent14-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디자인문화학회-
dc.title고령 소비자를 위한 클린라벨 식품 패키지 디자인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Clean Label Food Package Design for Elderly Consumers-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doi10.18208/ksdc.2020.27.1.44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7, no.1, pp 447 - 460-
dc.citation.title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dc.citation.volume27-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447-
dc.citation.endPage460-
dc.identifier.kciidART002697693-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Clean Label(클린라벨)-
dc.subject.keywordAuthorElderly Consumers(고령 소비자)-
dc.subject.keywordAuthorVisual Attention(시각적 주의)-
dc.identifier.url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43712-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eung hwa photo

Kim, eung hwa
COLLEGE OF DESIGN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