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모바일 정보시각화 분석을 통한 큐레이션 서비스 디자인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민슬기-
dc.contributor.author김성훈-
dc.date.accessioned2021-06-22T12:42:43Z-
dc.date.available2021-06-22T12:42:43Z-
dc.date.issued2018-04-
dc.identifier.issn1976-1562-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7467-
dc.description.abstract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화로 인해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와 콘텐츠가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빠른 속도로 대량의 정보가 유통되고 있다. 모바일의 다정보화 속 에서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들이 생겨 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인지하기 쉽게 시각화하 여 제공할 수 있는 디자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시각화의 개념을 통한 모바일 환 경의 큐레이션 서비스 디자인의 현황 및 발전방안을 위한 연구로, 1차적으로 모바일 환경의 큐레이션 서비 스와 정보시각화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모바일 큐레이션 서비스의 유형 (콘텐츠/소셜/커머셜)과 정보시각화 분석 요인을 도출 하였으며, 앱 스토어 상위차트의 서비스 앱 중 모바일민슬기,김성훈 I 모바일 정보시각화 분석을 통한 큐레이션 서비스 디자인 연구 297 큐레이션 서비스의 특징을 모두 반영한 6개의 사례를 선정하여 유형별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큐레 이션 서비스의 유형이 지닌 특징에 따라 나타나는 시 각적 표현의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큐레이션 서비 스 애플리케이션의 사례를 통해 현재 큐레이션 서비스 의 정보시각화 적용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미래 모바 일 환경에서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는 직관적인 디자인에 관한 연구의 지속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e spread of smart devices has resulted in various mobile services and contents, and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s circulating rapidly. Customized services are being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users' tastes in mobile information. There is needs for a design that can visualize and provide those information easily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of curation service design in mobile environment through the concept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Firstly, this study produces the theoretical research about curation service and information visualization of mobile environment. Based on this, we derive the types of mobile curation services-content, social, commercial- and analysis factor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After we selected six cases that reflect all features of mobile curation service on top of AppStore, we analyzed case by type. As a result, there are several differences in visual expression depending on the features of each type. This study examined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for curation services through examples of current service applications. Also, it proposes continuity of intuitive design which user can recognize and use easily in future mobile environment.-
dc.format.extent10-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dc.title모바일 정보시각화 분석을 통한 큐레이션 서비스 디자인 연구-
dc.title.alternativeStudy on curation service design through mobile information visualization analysis-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doi10.25111/jcd.2018.63.2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v.63, pp 296 - 305-
dc.citation.title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dc.citation.volume63-
dc.citation.startPage296-
dc.citation.endPage305-
dc.identifier.kciidART00234277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모바일 큐레이션 서비스-
dc.subject.keywordAuthor정보시각화-
dc.subject.keywordAuthor앱디자인-
dc.subject.keywordAuthormobile curation service-
dc.subject.keywordAuthorinformation visualization-
dc.subject.keywordAuthorApp design-
dc.identifier.url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595593-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INTERACTIVE MEDIA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UNG HOON photo

KIM, SUNG HOON
COLLEGE OF DESIGN (DEPARTMENT OF INTERACTIVE MEDIA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