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에 대한 메타-인지와 태도 변화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이현우 | - |
dc.date.accessioned | 2021-06-22T12:42:53Z | - |
dc.date.available | 2021-06-22T12:42:53Z | - |
dc.date.issued | 2018-03 | - |
dc.identifier.issn | 1227-8181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7485 | - |
dc.description.abstract | 설득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에 학문적 관심을 집중하고 있는 기존의 대부분 설득 관련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설득에 대한 저항을 연구 주제로 삼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외부의 설득 시도에 어떠한 방식으로 저항해야 하는지와 자신의 저항 능력이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설득 수신자의 메타ᐨ인지가 설득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탐험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기존의 이론적 틀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저항 방식을 코딩하는 목적으로도 매우 유용하였다. 둘째, 미국 데이터와의 2차 자료 비교 분석 결과 우리나라 사람들의 저항 방식은 미국 사람들과는 매우 다른 문화적 특성을 보여 주고 있었다. 셋째, 메타ᐨ인지 접근법은 설득 수신자의 저항 현상을 연구하는 데 매우 유용한 연구 방법이라는 사실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심도 높게 분석되었으며 향후 연구의 방향도 제시되었다. 아울러, 헬스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실용적 목적으로 저항에 대한 연구 결과가 활용되는 방안도 함께 논의되었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While majorities of persuasion research focus on finding the way to maximize the results of persuasion efforts, the current study approaches the persuasion phenomenon from the receiver’s resistance perspectiv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s to learn the role of meta-cognition of the recipient of persuasion messages in persuasion proces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existing coding scheme is found to be useful for Korean data as well. Second, as compared to U.S. data, this study delineates many cultural characteristics used in the decision process of resistance strategies. Third, we learn that meta-cognition approach to resistance study is very valuable route to pursue in the future. The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y are also made. | - |
dc.format.extent | 24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광고홍보학회 | - |
dc.title | 저항에 대한 메타-인지와 태도 변화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bout Resistance and Attitude Change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doi | 10.16914/ar.2018.116.84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광고연구, no.116, pp 84 - 107 | - |
dc.citation.title | 광고연구 | - |
dc.citation.number | 116 | - |
dc.citation.startPage | 84 | - |
dc.citation.endPage | 107 | - |
dc.identifier.kciid | ART002337030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omega persuas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resistance strategies | - |
dc.subject.keywordAuthor | mega-cognit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오메가 설득 | - |
dc.subject.keywordAuthor | 저항 전략 | - |
dc.subject.keywordAuthor | 메타ᐨ인지 | - |
dc.identifier.url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415839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