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현대 뮤지엄 건축의 시지각적 중심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가시장분석(Visibility Graph Analysis)을 중심으로 -A Study on Visual-perceptual Centrality in Contemporary Museum Architecture - Focused on Visibility Graph Analysis -

Other Titles
A Study on Visual-perceptual Centrality in Contemporary Museum Architecture - Focused on Visibility Graph Analysis -
Authors
박종구
Issue Date
2014
Publisher
한국실내디자인학회
Keywords
Museum; Art Museum; Visual-Perception; Centrality; Visibility Graph Analysis; 박물관; 미술관; 뮤지엄; 시지각; 중심성; 가시장분석
Citati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23, no.2, pp.166 - 173
Journal Titl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ume
23
Number
2
Start Page
166
End Page
17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13728
ISSN
1229-7992
Abstract
본 연구는 대형화 되고 있는 현대 뮤지엄을 분석함에 있어, 관람객의 이동에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써 시지각적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시지각적 힘이 발생하고 수렴하는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새로운 방법론 역시 제시하였다. 기존의 가시장분석은 뮤지엄의 물리적 환경에 대응하여 대부분 노드를 밝히는 것에 그치고 있으나, 새롭게 제안한 가시장분석은 가시가능한 공간요소를 분석변수로 설정함으로써 시지각적 힘이 발생하고 수렴하는 랜드마크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기존의 분석과 병행하여 좀 더 신뢰도 높은 결과를 도출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심에 위치한 공공 뮤지엄은 한정된 대지에 다양한 프로그램의 수용을 위하여 대형화 하는 방법으로 복층화 할 수 밖에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복층화 하는 과정 중 발생하는 관람객 정위의 문제를 시지각적으로 보이드된 대공간으로 해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유형으로는 대공간과 시지각적으로 연계된 매개공간(램프, 계단, 복도)을 설정하는 유형과 단순한 전시공간구성을 통해 관람동선의 혼란을 해소하는 두 가지 유형으로 종합할 수 있었다. 특히 단순한 전시공간구성을 통해 동선의 혼란을 해소하는 유형의 경우는 시대에 따른 전시작품의 성격 변화와도 관계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공간, 전시공간의 특성에 따라 진입부 역시 대공간에 종속된 형식과 독립된 형식 두 가지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가시장분석을 통해 뮤지엄 건축을 분석하였다. 보이드된 공간이나, 투명한 재료 등 시지각적 속성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었다고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불특정 다수인 관람객의 동선을 예측하는데 있어 3차원적이며, 심리적인 분석이 포함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예술작품의 배치나 관람객의 심리에 따른 분석이 포함된 폭넓은 후속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