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도시특성분류를 통한 도시의 문화영향요인 분석A Study on the Cultural Impact Factor Analysis of Korean Citie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Urban Characteristics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ultural Impact Factor Analysis of Korean Citie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Urban Characteristics
Authors
이우종박민아
Issue Date
2014
Publisher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eywords
도시특성; 문화영향요인; 도시군집; urban characteristics; cultural impact factors; city cluster
Citation
국토계획, v.49, no.2, pp.55 - 69
Journal Title
국토계획
Volume
49
Number
2
Start Page
55
End Page
6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13763
ISSN
1226-7147
Abstract
동태적 관점에서 도시는 성장, 변화함에 따라 그 개발 방법과 유형에 변화가 요구된다. (도시개발론, 보성각) 1960년대의 산업화로 인한 도시중심의 집약적 개발은 1995년 지방자치단체의 등장으로 도시특성을 반영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1980년대 이후 유럽도시들은 풍부한 역사자원을 중심으로 문화라는 강력한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도시이미지 향상, 도시환경 개선, 도시관광 활성화, 도시문화활동 증진 등(이병훈, 2010 참고)을 시작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문화에 대한 관심 증대로 중앙정부에서는 문화국가로서의 이미지 강화, 지역균형발전 및 주민들의 문화적 욕구충족이 요구되었고 지방차원에서는 과거의 산업발전전략의 한계 극복이라는 새로운 대안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정체성 형성이 요구되면서 문화를 개발의 수법으로 적극 수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를 통하여 문화중심도시와 같은 문화기반시설이 잘 갖춰진 광역시나 대표 문화유적도시를 중심으로 예술문화기반의 거점도시들이 개발되었다. 이처럼 문화중심의 개발은 예술문화, 전통문화 등 문화, 예술이라는 특수 분야에 대한 자원이 있을 때 그 빛을 발할 수 있었다. 그러나 도시에서 문화는 인류학적 관점에서 정의하는 인간집단의 생활양식(한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라는 측면을 반영하여 모든 도시에서 그 도시의 특성을 살린 시민여가복지적 차원의 개발에 대한 제안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분석을 통해 도출된 도시적 특성 요인과 문화 영향요인의 관계를 시·군별로 유형화하고, 도시적 특성과 문화영향요인에 대한 각 도시의 유형별 차이를 파악하여 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도시의 유형별 도시적 특성과 문화영향요인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유형별로 차별화된 도시발전방향을 도출함으로써 보다 현실성 있는 정책제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