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기위암에서 내시경점막하박리술 후 국소 재발의 위험인자Risk Factors for Local Recurrence of Early Gastric Cancer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Other Titles
Risk Factors for Local Recurrence of Early Gastric Cancer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Authors
김정호이정현정준원안정석원인식이지원하민수김주승안홍대박재찬김윤재권광안박동균
Issue Date
Sep-2013
Publisher
대한내과학회
Keywords
위 신생물; 내시경; 절제; 재발; 위험인자; Stomach neoplasms; Endoscopy; Dissection; Recurrence; Risk factors
Citation
대한내과학회지, v.85, no.3, pp.285 - 293
Journal Title
대한내과학회지
Volume
85
Number
3
Start Page
285
End Page
29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15308
DOI
10.3904/kjm.2013.85.3.285
ISSN
1738-9364
Abstract
목적: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은 림프절 전이가 없는 조기위암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는 치료 방법이다. 하지만 국소 재발과 관련된 위험인자에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조기위암에서 ESD 후국소 재발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2월부터 2011년 7월까지 가천대 길병원에서조기위암으로 진단받고 ESD를 시행받은 214명의 환자, 222 예의 병변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ESD 후 추가적인 치료를 시행한 경우와 동일 부위 조기위암재발로 ESD를 2차로 시행한 경우 그리고 12개월 이내의 추적관찰이 시행된 경우를 제외하여 총 150예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결과: 평균연령은 63.9 ± 9.8이었으며 74.3%가 남자였다. 일괄 절제율은 139/150 (92.7%)이고 완전 절제율은 131/150 (87.3%)이었다. ESD 시행 부위에서 국소 재발은 5예(3.3%)에서 발생하였으며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24개월이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수평 절제면 양성[HR: 13.12 (1.19-145.10); p = 0.036], 분할 절제[HR: 25.31 (1.24-517.57); p = 0.036], 그리고맥관 침습[HR: 485.06 (2.30-102449.79); p = 0.024]이 국소 재발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확인되었다. 결론: 조기위암의 ESD 후 국소 재발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는 수평 절제면 양성, 분할 절제, 그리고 맥관 침습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위험인자를 갖고 있는 환자들에서는 국소 재발을 조기에 확인할 수 있는 주의 깊은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의과대학 > 의예과 > 1. Journal Articles
의과대학 > 의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eong Ho photo

Kim, Jeong Ho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