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바슐라르의 이미지의 현상학과 공자의 ‘시(詩) 삼백(三百) 사무사(思無邪)’The Epistemology of Image in Bachelard and the Reading Poems in Confucius

Other Titles
The Epistemology of Image in Bachelard and the Reading Poems in Confucius
Authors
박세곤
Issue Date
2012
Publisher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Keywords
상상력. 상상계; 자아. 의식; 응용합리주의; 인신론적 방해물; 몽상; 조화; 균형; cogito; conscience; applied rationalism; appliqué; rê̂verie; harmony; balance
Citation
아시아문화연구, v.28, pp.69 - 91
Journal Title
아시아문화연구
Volume
28
Start Page
69
End Page
9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16954
DOI
10.34252/acsri.2012.28..004
ISSN
1975-9150
Abstract
뒤랑이 언급한 바슐라르의 ‘상상력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 이라고 하는 새로운 세계관과 인식론은 혹 동양적 사유의 입장에서는 아주 보편적인 인식론일 수 있다. 이러한 의견을 증명하기 위하여 바슐라르의 이미지의 현상학의 의미를 밝히고 그의 몽상의 세계와 공자의 인생관을 비교 하고자 한다. 바슐라르는 응용합리주의에 입각하여 과학을 의식의 밖에 존재하거나 의식을 제거한 텅 빈 진리로서가 아니라 인간의 주관적 의식의 활동의 하나로 간주한다. 그리고 그는 과학적으로 사유하기 위하여 모든 인식론적 방해물들을 제거하고자 하는 노력 끝에 상상력은 정신의 생산력 그 자체라는 결론에 도착한다. 그는 몽상하면서 아니마의 활동의 결과물, 시적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살아낸다. 바슐라르가 ‘우리는 시를 읽으면서 시 이외의 생각을 하지 않게 된다.’ 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그 때문이다. 그에게 있어서 상상력이란 특정한 개인이나 문화의 전유물이 아니라 인간 누구에게나 보편적인 것이다. 상상력을 인간인식의 근간으로 삼는 인간학에서 인간을 둘러싼 환경은 인간이라는 주체와 분리된 객체가 아니다. 그 둘의 관계는 끊임없이 상호영향을 주는 상호교환 작용인 것이다. 동양적 사유가 조화와 균형의 세계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므로 공자로 대표되는 동양의 상상력이 바슐라르가 이룩한 상상력의 혁명과 조응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그리할 때 공자에게서 드러나는 동양적 사유가 보편적 사유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