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해석수준이론의 공간적 거리 개념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습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 열린교육 초등학교 계획안A Study on the Learning Space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Concept of the Spatial Distance in Analytic Level Theory - Schematic Design Plans of the Open Education Elementary School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earning Space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Concept of the Spatial Distance in Analytic Level Theory - Schematic Design Plans of the Open Education Elementary School
Authors
전병준최동혁
Issue Date
2019
Publisher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Keywords
해석수준이론; 교육공간; 열린교육; 인지적 접근; 창의성; Analytical Level Theory; Educational Space; Open Education; Cognitive Approach; Creativity
Citation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v.9, no.10, pp.225 - 234
Journal Title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Volume
9
Number
10
Start Page
225
End Page
23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2142
DOI
10.35873/ajmahs.2019.9.10.020
ISSN
2383-5281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교육 본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이 이루어지는 교육공간의 형식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계획개념은 해석수준이론의 공간적 거리 개념과 인지적 접근법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교육의 역사와 특성, 그리고 그 개선방안을 고찰하였고 현재 교육과정의 기반인 열린교육 이론을 분석하였다. 또한 열린교육을 위한 교육공간계획에 적용 가능한 건축계획요소를 인지적 접근법과 해석수준이론을 개념화하여 추출하였으며 이를 열린교육 초등학교 계획안으로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계획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식인 열린교육의 개념을 수용할 수 있는 교육공간계획을 위하여 해석수준이론의 공간개념을 계획에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학습자의 신체적, 정서적 차이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본 단위모듈과 그 조합에 의하여 구성되는 교육 클러스터를 제안한다. 셋째, 기본 단위모듈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클러스터의 규모를 해석수준이론의 공간적 거리개념을 적용하여 계획함으로써 열린교육을 위한 교육공간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다양성, 유연성, 자율성을 확보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 적합한 교육환경을 제공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공과대학 > 건축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Dong Hyeog photo

Choi, Dong Hyeog
Engineering (Division of Architecture & Architectural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