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비언어적 요소 전사에 대한 고찰 — 대화분석적 관점을 중심으로A Study of Multimodal Transcription-A Conversation-Analytic Perspective

Other Titles
A Study of Multimodal Transcription-A Conversation-Analytic Perspective
Authors
이지원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중문학회
Keywords
多模式转写; 会话分析; 非语言特征; 口语; 视频分析; 다모드 전사; 대화분석; 비언어적 특징; 구어; 비디오 분석; multimodal transcription; conversation analysis; non-linguistic features; spoken language; video analysis
Citation
중국문학연구, no.75, pp.311 - 339
Journal Title
중국문학연구
Number
75
Start Page
311
End Page
33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2479
ISSN
1226-6698
Abstract
구어 자료에서 비언어적 요소는 언어적 요소 못지않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화분석에서 비언어적 요소 전사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초로 대화분석 분야에서 비언어적 요소가 어떠한 방식으로 전사되고 있는지 전사 유형을 살펴보고 대화분석에 적합한 비언어적 요소 특징을 전사하는 방안을 고찰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대화분석 분야에서 비언어적 요소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한 100편의 논문을 중심으로 비언어적 요소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전사되고 있는지 살펴본 결과 비언어적 요소들은 삽화 형식, 도표 형식, 악보 형식, 극본 형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사되며 이 중 극본 형식이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비언어적 요소들의 특징인 다양성, 공간성, 시간성, 상호작용은 전사본에 혼합 방식, 문자 형식, 이미지, 또는 전사 기호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비언어적 요소들의 다양성과 공간성은 전사본에 비교적 충실하게 반영되고 있는 반면 시간성과 상호작용은 전사본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경우가 상당수이다. 따라서 대화분석에 적합한 전사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비언어적 요소의 다양성, 공간적인 특징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요소의 시간적인 특징과 상호작용적인 특징과 관련된 미시적 세부사항들을 가능한 한 세밀하고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동양어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Jee Won photo

Lee, Jee Won
AI Humanities (Department of Oriental Languages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