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삼가촌찰기(三家村札記)』의 현실비판 방식 고찰A Study on the critical method of The Essays of Three-family Village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ritical method of The Essays of Three-family Village
Authors
이태준
Issue Date
2019
Publisher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Keywords
The Essays of Three-family Village; Deng Tuo; Wu Han; Liao Mo-sha; Yao Wen-yuan; Qian Gu-rong; Ba Ren; freedom of the press; 『삼가촌찰기(三家村札記)』; 등척(鄧拓); 오함(吳晗); 요말사(廖沫沙); 요문원(姚文元); 전곡융(錢谷融); 파인(巴人); 언론 자유
Citation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v.9, no.3, pp.193 - 202
Journal Title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Volume
9
Number
3
Start Page
193
End Page
20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2603
ISSN
2383-5281
Abstract
『삼가촌찰기(三家村札記)』는 1961년 9월 북경시위원회의 간행물『전선(前線)』편집부가 개설한 잡문 특별 기고란이다. 등척(鄧拓), 오함(吳晗), 요말사(廖沫沙) 등 3인은 1964년 7월까지 번갈아가며 이곳에 잡문 약 65편을 게재하였다. 문장의 내용을 살펴보면, 건전한 인생관과 치학 방법을 소개한 것 이외에도 당시 현실 정치 및 사회에 존재하였던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을 비판한 것들도 있었다. 노신(魯迅)의 잡문이 신랄하고 직접적으로 시사적 문제점을 비판하였으며, 증언수(曾彦修), 서무용(徐懋庸), 파인(巴人) 등이 이러한 기풍을 계승하였던 반면,『삼가촌찰기(三家村札記)』의 비판 방식은 고대사의 사건이나 인물들을 앞세워 매우 은유적이며 부드럽게 비판하는 방식이었다. “삼가촌”의 3인이 현실 비판을 진행하면서도 문장 곳곳에 중국 공산당과 모택동을 찬양하는 문구를 넣은 것은, 중국 공산당이 1956년 스스로 “쌍백방침(雙百方針)”을 선언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반(反)우파투쟁을 실시하는 기만적 술책을 사용했기에 탄압에 대한 안전 장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요문원(姚文元)이 주도한 현대판 문자옥(文字獄)인『삼가촌찰기(三家村札記)』에 대한 탄압은 등척과 오함의 죽음과 요말사의 고난으로 이어졌고, 이는 중국에서 자유로운 비판과 풍자의 실종, 오로지 한 가지 목소리만이 존재하는 강압적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는데 일조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동양어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Tae Jun photo

Lee, Tae Jun
AI Humanities (Department of Oriental Languages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