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이소호모노가타리의 추량표현에 관한 고찰-아마쿠사본과 고쿠지본의 비교를 통하여 -伊曾保物語の推量表現に関する考察 - 天草本と国字本の比較を通じて -

Other Titles
伊曾保物語の推量表現に関する考察 - 天草本と国字本の比較を通じて -
Authors
이수향
Issue Date
Apr-2017
Publisher
동아시아일본학회
Keywords
Amakusabon Isohomonogatari; Kokujibon Isohomonogatari; expressions for “guess; ” colloquial style; literary style; 아마쿠사본 이소호모노가타리; 고쿠지본 이소호모노가타리; 추량표현; 구어체; 문어체; 天草本伊曾保物語、国字本伊曾保物語、推量表現、口語体、文語体
Citation
일본문화연구, no.62, pp.213 - 233
Journal Title
일본문화연구
Number
62
Start Page
213
End Page
23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7100
DOI
10.18075/jcs..62.201704.213
ISSN
1229-4918
Abstract
본 논문은 중세후기 구어와 문어 자료에 나타나는 추량표현을 살펴보기 위해 아마쿠사본과 고쿠지본의 『이소호모노가타리』를 비교・분석한 것이다. 고찰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자료에 나타난 추량조동사의 종류에는 큰 차이가 없어서 아마쿠사본은 「う」「うず」「らう」「べし」가, 고쿠지본은 「む・ん」「んず」「べし」가 추출되었다. 그러나 표기형태와 사용빈도는 양상을 달리하여 구어자료와 문어자료에 따른 문체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표기형태는 「う」「うず」의 경우, 아마쿠사본에서는 「う」「うず」가, 고쿠지본에서는 「む・ん」「んず」가 나타났으며 사용빈도는 각각 「うず」와 「べし」가 높았다. 둘째, 두 자료의 공통부분을 비교・분석한 결과 중복된 조동사는 「べく」 1개뿐이었으며, 각각 다른 문장에 사용되어 용례가 일대일 대응을 이루고 있지는 않았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공통부분도 역시 자료에 따른 문체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중세후기 구어자료와 문어자료에 사용된 추량조동사의 종류는 전체적으로 차이가 없으나 표기형태는 뚜렷한 차이가 발견되며, 자료의 특성에 따라 주로 사용된 조동사 및 사용빈도는 차이가 나타나는 점을 알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동양어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u Hyang photo

Lee, Su Hyang
AI Humanities (Department of Oriental Languages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