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 경험 유무 집단에 따른 실무역량,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의 잠재평균 비교Comparing latent means on job competencies,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and career identity of groups with and without field experience

Other Titles
Comparing latent means on job competencies,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and career identity of groups with and without field experience
Authors
유지원송윤희
Issue Date
2017
Publisher
한국진로교육학회
Keywords
Field experience; Job competencies;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Career identity; Latent mean analysis; 현장실습교육; 실무역량;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 잠재평균분석
Citation
進路敎育硏究, v.30, no.1, pp.183 - 202
Journal Title
進路敎育硏究
Volume
30
Number
1
Start Page
183
End Page
20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7158
ISSN
1598-9291
Abstract
최근 대학은 대학생의 진로 역량과 취업률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있으며, 그 중 현장실습교육은 학생의 전공 관련 현장체험을 통해 학습한 지식을 실무에 적용하며 실무역량 향상을 도모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학생이 인지하는 실무역량과 진로동기의 3 구성요소인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 재학생 3,126명을 대상으로 현장실습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지를 묻고, 응답자의 지각하는 실무역량,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을 측정하였다. 현장실습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현장실습교육 유(有)경험 집단(n=1,483)과 무(無)경험 집단(n=1,433)으로 구분한 후, 두 집단의 실무역량,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 간의 잠재평균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장실습교육을 경험한 학생 집단의 실무역량,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 잠재평균이 무경험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현장실습교육이 학생의 실무역량과 진로동기를 촉진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장실습교육의 효과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가천리버럴아츠칼리지 > 자유전공(인문)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ou, Ji Won photo

You, Ji W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ory of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