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안도 다다오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관한 연구The Study of Ando Tadao’s Space configuration and Circulation of Residential Architecture

Other Titles
The Study of Ando Tadao’s Space configuration and Circulation of Residential Architecture
Authors
박항섭김용성
Issue Date
2017
Publish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Keywords
Ando Tadao; Residential Architecture; Spatial Composition; Circulation; Architectural Thought; Case Study; 안도 다다오; 주거 건축; 공간 구성; 동선; 건축적 사고; 사례분석
Citation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2, no.6, pp.275 - 287
Journal Title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ume
12
Number
6
Start Page
275
End Page
28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7252
DOI
10.35216/kisd.2017.12.6.275
ISSN
1976-4405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안도 다다오는 초기 주거건축에서부터 그의 건축적인 신념을 바탕으로 한 주택작품으로 건축가의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안도는 건축의 시작부터 일본의 전통성과 합리적 모더니즘을 동시에 내포하는 건축을 시도하였으며, 안도 건축의 특징으로는 노출콘크리트, 기하학 구성, 자연의 도입 등을 언급한다. 안도의 주택에는 보편적으로 모더니즘, 노출 콘크리트, 간결한 소재사용과 단순 기하학 구성, 중정과 자연의 도입, 비움과 풍요로움, 비연속적인 동선, 지역성과 인간의 삶, 일본 전통성의 접목, 낭비함이 없는 치밀한 디자인 등이 반영된 안도만의 건축 언어를 내재시키고 있다. 안도의 주거건축에는 건축적인 사고가 투영되어 있으며, 연출적인 공간구성과 동선을 관계시킨다. 본 연구는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역할을 밝히는 데에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두며, 이러한 연구가 주거건축의 연구 및 설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안도 다다오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을 조사 분석하여 그에 대한 특성과 상호간의 관련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서 안도의 주거를 선별하여 문헌적인 고찰과 다양한 자료의 조사, 부분적인 답사 등을 바탕으로 하여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특이성을 제시하려 한다. 연구대상이 되는 주거는 안도의 대표되는 주거작품을 단독주택으로 한정하여 연대별과 공간구성의 특이성으로 평가된 주택을 선별하였으며, 그 대상의 주택으로는 스미요시 나가야 주택(Sumiyoshi-Azuma House, 1975-1976), 기도사키 주택(Kidosaki House, 1982-1985), 나카야마 주택(Nakayama House, 1983-1985), 고시노 주택(Koshino House, 1983-1984), 이씨 주택(Lee House, 1991-1992), 히라노 주택(Hirano House, 1995-1996)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의 진행은 첫째, 안도의 주거에 대한 사고를 고찰하고 둘째, 안도의 전반적인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조사와 특징을 제시하며 셋째, 선별된 각 주거별에 따른 사례를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며, 끝으로 이러한 과정으로 추출되어진 내용들을 정리하여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결론을 제시한다. (결과)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특성을 추출하기 위하여 앞에서 언급한 6개의 주택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시도하였고, 사례분석에서 추출한 내용들을 공간구성과 동선체계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공간구성은 에워쌈과 내부 중심적 공간, 형태성 등으로 재분류하여 연구하였으며, 동선체계는 외벽과 출입동선, 연출공간과 수직동선 등으로 재분류하여 연구・정리하였다. 또한 이러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주택을 공간구성의 특징, 동선의 특징, 주거의 형태성 등으로 구분하여 표로서 종합 정리하여 서술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특징으로 추출한 결론은 첫째, 에워쌈과 개방적 내부공간 연출이고 둘째, 내부 중심적 공간구성이며 셋째, 빛과 공간구성이며 넷째, 연출공간과 수직동선 삽입이며 다섯째, 외벽과 출입동선의 유도이며 여섯째, 주거건축에 가구의 적극적 도입 등이다. 본 연구는 안도 다다오의 주거공간에 건축적 신념과 공간의 연출과 의도, 자연 등이 어떠한 방법으로 접목되어 있는가를 밝히는 데에 연구의 의의를 두며 이러한 연구가 주거건축 연구 및 설계에 실무적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공과대학 > 건축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Yong Sung photo

Kim, Yong Sung
Engineering (Division of Architecture & Architectural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