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敦煌 問答體 歌辭의 서사특징 및 연행형식 연구A study of Narrative features and Performance style in Question-and-answer Type of Dunhuang-Geci

Other Titles
A study of Narrative features and Performance style in Question-and-answer Type of Dunhuang-Geci
Authors
김금남
Issue Date
Aug-2020
Publisher
한국중문학회
Keywords
敦煌歌辭; 問答體; 敍述特徵; 演行; 敦煌舞譜; 南歌子; 鳳歸雲; 鵲踏枝; 定風波; 搗練子; Dunhuang-Geci; question-and-answer type; Narrative Features; Performance style; Dunhuang-dance notation; Nangezi; Fengguiyun; Quetazhi; Dingfengbo; Daolianzi; 돈황가사; 문답체; 서술특징; 연행형식; 돈황무보; 남가자; 봉귀운; 작답지; 정풍파; 도련자
Citation
중국문학연구, no.80, pp.51 - 78
Journal Title
중국문학연구
Number
80
Start Page
51
End Page
7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78086
ISSN
1226-6698
Abstract
돈황가사 가운데 聯章의 형식의 가사는 한 수의 隻曲에 비해 이야기를 확장시켜 전개하거나 극적 요소를 첨가하기 수월하다. 따라서 작품의 서사성이나 연행성질이 보다 뚜렷하게 드러난다. 특히 같은 연장 형식이라 하더라도 ‘問答의 형식’을 운용한 경우, 적어도 2인 이상의 배역이 등장함으로써 서사의 구조를 더 복잡하게 하고 인물 간 갈등을 심화하여 작품 내의 ‘劇’적 성격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들 문답체 가사의 서사 특징이나 연행 형식을 우선 고찰하는 것은 향후의 돈황 연장체 가사, 나아가 돈황가사 전반의 서사 성질 및 연행 연구의 기반이 되어줄 수 있다. 본 논문은 돈황 연장체 가사 중 ‘문답의 형식’을 운용한 非불교성 제재의 가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들 가사에 나타난 서사 특징과 그에 따른 연행 형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문답의 유형을 ‘선문후답 유형’과 ‘문답혼합전개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한 뒤, 대립 구조를 중심으로 한 돈황 문답체 가사의 서사 특징을 고찰하였고, 연행 형식과 관련하여 그 가능성을 분석함으로써 현장 예술로서의 돈황 문답체 가사에 대한 전면적인 이해를 시도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