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시조(時調)에 나타난 백색 이미지 연구-구름, 눈, 새를 중심으로-A Study of the White Imagery Depicted in Sijo: - Focusing on Clouds, Snow, and Birds -

Other Titles
A Study of the White Imagery Depicted in Sijo: - Focusing on Clouds, Snow, and Birds -
Authors
문복희
Issue Date
Sep-2020
Publisher
국제어문학회
Keywords
White; Image; Sijo; Clouds; Snow; Birds; Aesthetics; Symbolism; Color; 백색; 이미지; 시조; 구름; 눈; 새; 미의식; 상징성; 색채
Citation
국제어문, no.86, pp.213 - 234
Journal Title
국제어문
Number
86
Start Page
213
End Page
23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78445
DOI
10.31147/IALL.86.8
ISSN
1225-1216
Abstract
이 논문은 자연물 중 구름, 눈(雪), 새(鳥)를 소재로 한 시조를 대상으로 백색이미지의 양상을 살펴보고, 작품 내용의 총체적인 의미와 미의식을 파악하였다. 즉, 시조(時調) 9편을 대상으로 백색 소재의 색채 이미지를 분석하고, 미적감각과 상징성을 고찰하였다. 작품의 텍스트는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에서 편찬한 「고시조대전」으로 하였다. 구름 소재로는 김수장의 「초암이 적료한데」, 김장생의 「대 심거 울을 삼고」, 정철의 「믈아래 그림자 디니」 3편, 눈(雪) 소재 작품은 성삼문의 「이몸이 죽고 죽어」, 이색의 「백설이 잦아진 골에」, 신흠의 「산촌에 눈이 오니」 3편, 새(鳥) 소재 작품은 이직의 「가마귀 검다하고」, 이시의「가마귀 디디는 곧에」, 홍장의 「한송정 달 밝은 밤에」 3편을 합하여 9편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름, 눈, 새 소재와 백색 이미지의 관련 양상을 통해 실제작품을 분석한 결과, 그 상징성과 작품 내용의 총체적 의미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같은 백색 소재를 사용했지만, 각 작품에 따라 순수, 결백, 숭고, 깨끗함, 검정과 대조적인 입장 등의 이미지로 형상화되었으며, 작가의 정서와 감성, 내면세계를 표현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특히, 작가가 처한 외적, 내적 환경에 따라 독창적인 미의식으로 인식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백색 이미지는일반적인 상징성을 갖고 있으면서, 자연 소재와 만나 시적 공간 속에서 다양한이미지로 형상화되었다. 따라서 색채 이미지와 관련된 소재들은 작품의 의미와 미의식을 부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었다. 즉, 작품 속의 색채 이미지는 작가의 의식세계와 미적 감각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한국어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Moon, Bok Hee photo

Moon, Bok Hee
AI Humanities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