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제조업 과학기술 융합구조 분석 및 국가 표준정책 연구Standardization Policy for Newly Developing Area of Technology Convergence within the Manufacturing R&D

Other Titles
Standardization Policy for Newly Developing Area of Technology Convergence within the Manufacturing R&D
Authors
황광선
Issue Date
Sep-2017
Publisher
한국공공관리학회
Keywords
표준정책; 융합기술; 제조업; 과학기술; R& D; Standardization policy; Technology convergence; Manufacturing field; Standard; R& D
Citation
한국공공관리학보, v.31, no.3, pp.263 - 289
Journal Title
한국공공관리학보
Volume
31
Number
3
Start Page
263
End Page
28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80482
DOI
10.24210/kapm.2017.31.3.012
ISSN
2733-4244
Abstract
본 연구는 첫째, 제조업 분야에서의 융합연구가 활발한 과학기술 분야는 무엇이고, 어떤 기술분야 간 융합이 활발한지에 대해 분석하고, 둘째, 융합이 활발한 주요 제조업 기술분야의 국가 표준정책을 탐구한다. 2015년 R&D 과제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계량분석인 기술가중치 분석 등과 인터뷰, 문헌조사를 병행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에서 표준정책적 관심을 비교적 많이 기울여야 할 기술 부문으로 40여 개의 기술부문을 추천하였다. 제조업 부문에서 융합에 대한 투자가 많이 일어나는 기술분야는 고분자재료, 의약품/의약품개발, 반도체소자/시스템, 나노화학공정기술, 치료/진단기기, 금속재료, 융합바이오, 나노/마이크로 기계시스템, 세라믹재료, 자동차/철도차량 기술 등으로 국가표준정책의 관점에서 충분한 관심이 필요한 기술분야로 사료된다. 추가적인 정책적 관심이 필요한 기술 부문은 이동통신, 화학공정, 고분자공정기술 등임을 밝혔다. 제조업 부문의 융합 R&D의 특성으로 고분자재료 기술 분야는 제조업 융합의 핵심적인 기술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나노화학공정기술과 반도체소자/시스템 기술 분야도 많은 연결고리를 타 분야 기술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표준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고분자공정기술의 융복합적 개발 연구의 발전을 위해 재료 성형 및 성능 해석에서의 표준과 표준정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반도체소자/시스템 기술 분야의 융복합이 인공지능의 발전을 위한 교두보라는 점에서 기술우위보다는 표준장악이 경쟁의 핵심요소임을 주장하였다. 의약품/의약품개발, 융합바이오, 치료/진단기기 기술 분야는 후방산업에서의 융복합이 원활히 나타나는 기술로 표준정책적인 관심 증대가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법과대학 > 행정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wang, Kwangseon photo

Hwang, Kwangseon
Law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