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구메 구니타케[久米邦武]와의 비교를 통한 구로이타 가쓰미[黒板勝美]의 한반도 도래인에 대한 인식Kuroita Katsumi's understanding on ancient migrants from the Korean Peninsula-in comparison with Kume Kunitake-

Other Titles
Kuroita Katsumi's understanding on ancient migrants from the Korean Peninsula-in comparison with Kume Kunitake-
Authors
세키네 히데유키
Issue Date
Sep-2021
Publisher
동아시아고대학회
Keywords
Kuroita Katsumi; Kume Kunitake; academic historians; view of imperial history; ancient history of Japan; ancient migrants from Korean Peninsula; Age of the Gods; Bälz; 구로이타 가쓰미[黒板勝美]; 구메 구니타케[久米邦武]; 아카데미즘 사학; 황국사관; 고대일본사; 한반도 도래인; 신대(神代); 벨츠
Citation
동아시아고대학, no.63, pp.387 - 420
Journal Title
동아시아고대학
Number
63
Start Page
387
End Page
42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82312
ISSN
1229-8298
Abstract
이 논문은 아카데미즘 사학 제1세대인 구메 구니타케와 제2세대인 구로이타 가쓰미의 한반도 도래인에 대한 인식을 통해 구로이타의 황국사관을 고찰한 것이다. 구로이타는 위기에 빠진 아카데미즘 사학의 복권을 기도하는 데 보수 세력의 지지를 얻기 위해 진보적이고 합리적인 구메의 고대일본사 체계를 황국사관으로 재정립하는 것을 시도했다. 양자의 차이는 다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구메는 고대일본사 관련 저서의 목차를 주제 중심으로 구성했으나 구로이타는 천황의 통치 형태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구메는 일본에 이주한 한반도 도래인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인류학설을 수용했으나 구로이타는 이를 배제하여 순수한 일본인에 의한 신대사를 고집하였다. 셋째, 구메는 스사노오 신화의 통해 신대에 한일 간에 활발한 교류가 존재했다고 해석했으나 구로이타는 이즈모 신화를 통해서 신대의 교류는 신라와 이즈모의 교류로 한정하였다. 넷째, 일본서기 에 나온 한반도 도래인의 대규모 이주 기사에 대해서는 두 학자 모두 이를 외면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동양어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ideyuki, Sekine photo

Hideyuki, Sekine
Humanities (Department of Oriental Languages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