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근세초기 구어자료에 나타나는 「べし」의 사용양상 - 昨日は今日の物語와 醒睡笑를 중심으로 -The Use of ‘Beshi’ in Spoken Language Materials in the Early Modern Era : Focusing on Kinouwa kyounomonogatari and Seisuisyo

Other Titles
The Use of ‘Beshi’ in Spoken Language Materials in the Early Modern Era : Focusing on Kinouwa kyounomonogatari and Seisuisyo
Authors
이수향
Issue Date
Nov-2021
Publisher
한국일어교육학회
Keywords
In the early modern era; Kinouwa kyounomonogatari; Seisuisyo; Utilization type; Meaning; 근세초기; 기노와교노모노가타리; 세이스이쇼; 활용형; 의미용법
Citation
일본어교육연구, no.57, pp.173 - 188
Journal Title
일본어교육연구
Number
57
Start Page
173
End Page
18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82828
ISSN
1598-4311
Abstract
본 논문은 근세초기 구어자료에 나타나는 「べし」의 사용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昨日は今日の物語와 醒 睡笑를 대상으로, 활용형과 의미용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고찰결과 다음의 사항을 알 수 있었다. 첫째, 활용형은 회화문과 지문에서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べし」는 둘 다 회화문에서의 사용빈도가 조금높았다. 두 자료에 나타나는 활용형의 분포를 종합해보면 전체적으로 「べし」가, 「べき」보다 사용률이 약간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중세후기의 경향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중세부터 나타난 연용형과 이연형의 감소경향도 확인되었다. 둘째, 종지형이 사용되어야 할 곳에 연체형이 사용된 예가 소수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중세후기부터 나타나기시작한 <종지・연체형의 합일화 현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べし」의 활용형에 접속하는 품사의 종류로는 동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른 품사는 소수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昨日は今日の物語에 나타난 「べし」의 의미는 [의지]-[추량]-[당연・필연]-[적당・권유・명령]의순서로 나타났으며, 醒睡笑에서는 [추량] [당연・필연]-[가능]-[적당・권유]-[의지]의 순서로 나타났다. [의지]의 의미를 제외한 [추량]과 [당연・필연]은 같은 사용빈도의 순서를 보이고 있는 점과 두 자료 전체의 사용양상을 살펴본 결과를 통해 [추량]과 [당연・필연]이 주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べからず」는 4예 중에서 [금지]가 3예, [불가능]이 1예 나타났다. 현대일본어에서 「べからず」는주로 [금지]의 의미에 사용되고 있는데 본 연구 결과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파악되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동양어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u Hyang photo

Lee, Su Hyang
AI Humanities (Department of Oriental Languages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