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소설 고백에 나타난 가정 붕괴와 그 비극적 결말 - 가정에서의 아버지(남성성) 부재를 중심으로 -Family Collapse and Tragic End Shown in Confessions - Focusing on the Absence of Father(Masculinity) in Family -

Other Titles
Family Collapse and Tragic End Shown in Confessions - Focusing on the Absence of Father(Masculinity) in Family -
Authors
임만호
Issue Date
Jun-2022
Publisher
한국문화융합학회
Keywords
Family(Home); Absence of Father; Masculinity and Femininity; Juvenile Crime; Single Mom; 가족(가정); 아버지 부재; 남성성과 여성성; 소년 범죄; 싱글맘
Citation
문화와융합, v.44, no.6, pp.1107 - 1124
Journal Title
문화와융합
Volume
44
Number
6
Start Page
1107
End Page
112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85107
ISSN
2950-9742
Abstract
2008년에 출간된 미나토 가나에(湊かなえ)의 고백(告白) 은 구조상 등장인물 간의 고백이라는 형식을 통해 일본 사회에 만연한 소년범죄를 극화하여, 당시 일본 사회에 커다란 이슈를 불러일으킨 작품이다. 즉 작품 내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중학교 선생 모리구치(森口悠子)의 딸 마나미(愛実)를 살해한 범인이 다름 아닌 모리구치 자신이 담임을 맡은 학급의 학생 와타나베 슈야(渡辺修哉)와 시모무라 나오키(下村直樹)이라는 점, 그리고 이에 파생된 소년법 문제는 여전히 심각한 사회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정 붕괴의 원인은 일본 사회가 근대 이후 현대로 넘어오면서 가족의 개념 변화와 더불어 점차 아버지 부재 - 실질적으로 아버지가 없는 경우를 포함한 아버지(남성성)로서의 역할 부재 - 에 기인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즉, 슈야 어머니는 전통적 여성성이 배제된 왜곡된 남성성을 슈야에서 전달하고 있는데, 그 결과 슈야는 애정결핍에 따른 반사회적 인격장애로 성장하며, 자신의 목적을 위해서 타인의 생명을 경시하는 살인자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나오키 어머니는 오히려 기존의 남성성이 배제된 과잉된 여성성을 나오키에게 전달하고 있는데, 그결과 나오키는 자신의 부정된 남성적 정체성을 회복하고자 존속 살인을 저지르고 마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더욱이 슈야와 나오키는 급기야 자신들의 어머니를 살해하는 존속범죄까지 이르고 있는데, 이 또한 왜곡된 남성성혹은 과잉된 여성성의 반항 – 부작용 - 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아버지 부재에 따른 가정 붕괴는 단순히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의 대량학살이라는 사이코패스 성향이나 존속 살인과 같은 흥미 위주의 매스미디어를 통한 대서특필 등은 단순히 한 개인적 범죄를 넘어서 그들이 속한 학교 학생이나 사회 구성원에까지 그 파급력이 미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모리구치 선생은 아버지 부재로 인해 싱글맘으로써 자신과 딸 마나미를 위해 직업 활동이나 양육 의무를해야 했다. 이러한 아버지 부재는 결과적으로 마나미의 죽음이라는 비극의 원인을 제공하였다고 말하는 것이 타당하다 하겠다. 이것은 다시 말해서 사회복지시스템이 부족한 열악한 환경 속에서 매년 증가하는 싱글맘은 경제적어려움은 물론 그녀를 포함한 자녀들이 범죄의 대상화로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처럼 가정 붕괴는 단순히 한 가정으로 국한할 수 없으며, 가정이 속한 사회로까지 확산되어 다양한 문제로파급되는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다면 현대 사회에 있어서 외형적으로 대가족에서 핵가족 혹은 1인 가족으로바뀌거나, 아니면 가정 내에서의 아버지의 남성성과 어머니의 여성성 변화 등 가정이란 개념이 바뀌어 가는 만큼, 지금까지 가정의 개념을 물론 아버지와 어머니 혹은 남성성과 여성성의 역할이나 패러다임 등 또한 하루빨리 새롭게 구축할 필요가 있으리라 본다. 왜냐하면 사회가 발전하여 한층 복잡, 다양화, 분자화 해 갈수록 그 비극 또한더욱더 확대 및 가속화되는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동양어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Im, Man Ho photo

Im, Man Ho
AI Humanities (Department of Oriental Languages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