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 성교육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Keyword Network Analysis on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through Big Data

Other Titles
Keyword Network Analysis on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through Big Data
Authors
김현명
Issue Date
Apr-2023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eywords
early childhood education; sex education; big data; keyword network analysis; 유아교육; 성교육; 빅데이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3, no.7, pp.799 - 815
Journal Tit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ume
23
Number
7
Start Page
799
End Page
81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87940
DOI
10.22251/jlcci.2023.23.7.799
ISSN
1598-2106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공간에서 수집 가능한 빅데이터로부터 유아 성교육과 관련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우리사회가 지닌 유아 성교육에 관한 주요 이슈와 담론을 분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Textom 플랫폼을 활용하여 2017년 7월부터 2022년 6월까지의 ‘유아 성교육’과 관련한 텍스트를 마이닝하고1차, 2차에 걸쳐 정제하였다. 정제한 키워드의 빈도를 분석하여 상위 50위의 키워드를 활용하여 네트워크의 기본 속성과 각 키워드의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이후 Ucinet 6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내 유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과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 ‘동화’, ‘아이’, ‘성’, ‘교육’, ‘책’, ‘부모’, ‘수’, ‘시작’, ‘엄마’, ‘유치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상위 50개 키워드 간의 네트워크 데이터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네트워크 데이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왔으며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근접중심성과 매개중심성에서 상위 26개 키워드가 유사한 값을 가져 각 키워드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내 유형 분석 결과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는 유아 성교육’, ‘유아 성교육에 대한 가정 내 요구’,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육적인식’, ‘강의를 통해 이루어지는 유아 성교육’, 그룹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최근 5년간 우리나라에서 유아 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고 발전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가 유아 성교육에 대한 사회적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