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부모와의 상호작용과 또래애착에서 정신건강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and sense of community between parents-children interaction and peer attachment: Focusing on the mid. adolescents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and sense of community between parents-children interaction and peer attachment: Focusing on the mid. adolescents
Authors
한명은서은희
Issue Date
Jan-2024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eywords
Key words parents-children interaction; peer attachment; mental health; sense of community; mid. adolescents; 부모와의 상호작용; 정신건강; 공동체의식; 또래애착; 고등학생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4, no.1, pp 435 - 445
Pages
11
Journal Tit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ume
24
Number
1
Start Page
435
End Page
44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90145
DOI
10.22251/jlcci.2024.24.1.435
ISSN
1598-2106
2671-776X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부모와의 상호작용과 또래애착의 관계에서 정신건강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지, 각 변인 간에 어떠한 영향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시행한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7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유효표본 6,429명의 부모와의 상호작용, 정신건강, 공동체의식, 또래애착 변인에 대한 응답 결과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변인 간의관계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Macro Process를 활용하여 Bootstrapp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고등학생의 또래애착에 대한 부모와의 상호작용, 정신건강, 공동체의식의 직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부모와의 상호작용과 또래애착의 관계에서 정신건강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는 각각 유의하였다. 부모와의 상호작용과 또래애착의 관계에서 정신건강과 공동체의식의 다중매개효과 또한 유의하였다. 결론 부모와의 상호작용은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공동체 의식 강화의 과정을 거쳐 또래애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고등학생의 또래애착을 형성시키기 위해 정신건강을 위한 상담과 공동체 의식 훈련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eo, Eun Hee photo

Seo, Eun He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ory of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