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정부지원 직업훈련 평가자의 평가역량 모델 개발An Development Study of a Competency Model for Assessors of government-supported Vocational Training

Other Titles
An Development Study of a Competency Model for Assessors of government-supported Vocational Training
Authors
김은지송영수
Issue Date
Feb-2022
Publisher
한국직업교육학회
Keywords
Vocational Training; Assessor; Competency model; Delphi; FGI; 직업훈련; 평가자; 역량모델; 델파이; FGI
Citation
직업교육연구, v.41, no.1, pp.43 - 67
Indexed
KCI
Journal Title
직업교육연구
Volume
41
Number
1
Start Page
43
End Page
6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39543
DOI
10.37210/JVER.2022.41.1.43
ISSN
1225-4762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가 지원하는 직업훈련을 평가하는 평가자의 역량 및 행동지표를 규명한 역량 모델을 개발하여, 직업훈련 품질관리를 도모하고 평가자 관련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를 분석하고 개념정의 및 구성 영역을 확인하는 준비단계, 실무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한 역량모델 초안을 도출하는 구체화 단계, 17명의 평가전문가로부터 3차례의 델파이를 통해 역량 및 행동지표를 도출하고, 1차와 2차 델파이 조사 뒤에 실시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내용 타당성을 확보하는 검증단계를 거쳤다. 그 결과 정부지원 직업훈련 평가자의 평가역량 13개와 50개의 행동지표가 확정되었다. 직업훈련 평가자에게는 공정과 신뢰, 책무성, 전문성 추구, 상호존중, 협업, 직업능력개발 정책 및 제도 이해, 훈련기관 및 훈련 사업에 대한 이해, 평가체계 및 방법 이해, 평가운영 관리, 문제해결, 평가자료 분석, 보고서 작성, 피드백 및 코칭 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가자는 직업훈련 정책, 제도, 사업, 평가에 관한 지식을 함양하고 책임감과 공정성, 신뢰성을 기반으로 일련의 평가절차 및 기준에 따라 평가를 수행하는 자로서 필요한 역량을 두루 갖추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평가자 본인의 현재 역량 수준을 확인하고, 부족한 역량과 행동지표를 파악함으로써 평가자의 경력에 따른 체계적인 교육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더하여 직업훈련 평가자의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평가자 선발 및 관리에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사범대학 > 서울 교육공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Young Soo photo

Song, Young Soo
COLLEGE OF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