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라이브 커머스에 대한 소비자 인식- 코로나19의 영향과 제품군별 차이 -open accessConsumer Awareness on Live Commerce- Influence of the Covid 19 and Product Category of Fashion and Beauty -

Other Titles
Consumer Awareness on Live Commerce- Influence of the Covid 19 and Product Category of Fashion and Beauty -
Authors
최지윤이규혜
Issue Date
Jun-2021
Publisher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Keywords
Live Commerce; Consumer Awareness; Social Big Data Analysis; 라이브 커머스; 소비자 인식; 소셜 빅데이터 분석
Citation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19, no.2, pp.173 - 186
Indexed
KCI
Journal Title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ume
19
Number
2
Start Page
173
End Page
18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41691
DOI
10.18852/bdak.2021.19.2.173
ISSN
1738-0863
Abstract
코로나 19가 심화되면서 소비자들은 타인과의 불필요한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표적인 비대면 서비스인 라이브 커머스 선호하기 시작하였으며, 소비자 인식을 통해 뉴노멀 시대에 적합한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른 소비자 관점에서의 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라이브 스트리밍 커머스의 특성과 인식을 파악한다. 코로나 19 전후로 라이브 커머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전반적인 인식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라이브 커머스의 하위카테고리인 패션과 뷰티 채널에서 나타난 소비자 인식 구조를 분석 비교하는 것도 본 연구에 포함한다. 코로나 19 전후의 라이브 커머스 대한 소비자 인식은 코로나 19 발생 시기에 따라 각각 오프라인, 온라인 기반의 속성 키워드들이 도출되었으며,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라이브 커머스의 속성 항목들이 성장하여 소비자들에게 대중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브 커머스 하위 카테고리인 패션 항목과 뷰티 항목에서는 네 가지의 군집이 나타났다. 패션, 뷰티 항목의 공통점과 차이점에서는 전체적으로 코로나 19, 라이브 커머스 속성과 이종업계, 온라인으로의 전환이 주요 공통점으로 나타났고 패션은 패션 산업, 속성, 세대 등의 특징을 가지고 뷰티는 K-뷰티, 브랜드, 정보제공자, 헬스뷰티 관심도 등의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패션과 뷰티 분야의 라이브 커머스 연구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생활과학대학 > 서울 의류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Kyu Hye photo

Lee, Kyu Hye
COLLEGE OF HUMAN ECOLOGY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