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서울양로시설의 옥외공간 평가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Evaluation of Outdoor Spaces of Nursing Homes in Seoul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Outdoor Spaces of Nursing Homes in Seoul
Authors
이주영남경숙
Issue Date
Dec-2014
Publisher
한국실내디자인학회
Keywords
Nursing Homes; Outdoor Space; Older Elderly; 양로시설; 옥외공간; 노인
Citati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23, no.6, pp.221 - 229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ume
23
Number
6
Start Page
221
End Page
22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43902
DOI
10.14774/JKIID.2014.23.6.221
ISSN
1229-7992
Abstract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그에 따른 주거시설의 시급해졌다. 노인 주거시설 중에서 여건이 부족한 노인들이 이용하는 양로원은 사람들의 부정적인 인식으로 들어가길 꺼려하고, 그 곳에서 우울증을 얻는 사람들이 많다. 공용 공간 중에서 옥외공간은 치유적 역할을 할 수 있고, 커뮤니티가 이루어지는 장소이기에, 양로시설의 옥외공간에 연구하고자 한다. 서울에 위치한 일반 양로시설 11곳 중에서 옥외공간이 있는 시설 5곳을 골라 조사하였다. 옥외공간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옥외공간의 이론적배경과 공간분류를 하고, 공간들이 노인에게 적합한지를 세부적 지표를 만들어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접근로 및 마당, 출입공간, 휴게공간, 산책로, 녹지공간, 주차장의 여섯 공간에 안전성, 지원성, 쾌적성, 인지성, 접근성의 분류로 작성하였다. 서울에 위치한 양로원들은 주변의 연계성과 접근성이 좋은 장점이 있었고, 주출입공간은 경사도가 낮아 노인들이 오르고 내리기 편하지만, 양로원의 정문과 접근로는 경사가 가파르고 핸드레일이 없는 곳이 대부분이었고, 주차장과 보행도로의 구분이 없어 위험하였다. 또한 옥외공간은 시설이 미흡하고, 노후가 되어서 옥외에서 할 일을 건물 내에서 하는 실정이다. 노인에게 적합하면서, 안정성, 지원성, 인지성을 고려한 옥외공간이 계획 되었으면 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생활과학대학 > 서울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Nam, Kyeong sook photo

Nam, Kyeong sook
서울 생활과학대학 (서울 실내건축디자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