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일 관련 반추에 대한 통합적 문헌 고찰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Work-related Ruminations

Other Titles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Work-related Ruminations
Authors
김희선김민영송수민노아영송지훈
Issue Date
2021
Publisher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Keywords
일 관련 반추; 정서적 반추; 문제해결숙고; 분리; 회복 메커니즘; work-related ruminations; affective rumination; problem-solving pondering; psychological detachment; recovery mechanism
Citation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v.16, no.3, pp.1 - 37
Indexed
KCI
Journal Title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Volume
16
Number
3
Start Page
1
End Page
3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44018
ISSN
2733-8541
Abstract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조직 구성원의 안녕감을 위한 회복의 관점에서 일 관련 반추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고, 다른 변인들과의 관계를 통해 구성원의 회복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 관련 반추에 관한 국내, 외 선행연구 총 50편(국내 2편, 국외 48편)을 네 가지 이론적 기반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서사건이론, 노력-회복모델, 감정규제이론, 자원보존이론을 기반으로 조직 환경에서의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일 관련 반추의 긍정적, 부정적 유형과 어떠한 영향관계를 나타내며 그 결과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조직 구성원의 인지적 표상 메커니즘을 통한 회복 과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일 관련 반추는 직무요구 혹은 직무자원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인지적 현상이다. 둘째, 일 관련 반추의 유형에 따른 서로 다른 결과요인을 고려하였을 때 정서적 반추는 부정적인 유형, 문제해결숙고 및 분리는 긍정적인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셋째, 정서적 반추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는 직무자원으로 조절될 수 있다. 넷째, 개인의 직무 태도 및 행동은 인지 또는 정서로부터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긍정적인 개인 및 직무 성과는 문제해결숙고와 분리 두 가지 일 관련 반추로부터 영향을 받는다고 추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사범대학 > 서울 교육공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Ji Hoon photo

Song, Ji Hoon
COLLEGE OF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