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6세기 조선의 정치권력의 지형과 퇴계 이황의 철학The Topography of Political Power in the 16th Century Chosun Dynasty and T'oegye's Philosophy

Other Titles
The Topography of Political Power in the 16th Century Chosun Dynasty and T'oegye's Philosophy
Authors
김용헌
Issue Date
Sep-2014
Publisher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Keywords
T' oegye Yi Hwang; Dohak(道學); Eulsa Sahwa(乙巳士禍); Sarim(士林); 도학; 봉성군; 사림; 을사사화; 주자학; 퇴계 이황
Citation
한국학논집, no.56, pp.141 - 175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학논집
Number
56
Start Page
141
End Page
17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44524
DOI
10.18399/actako.2014..56.004
ISSN
1738-8902
Abstract
퇴계 이황은 봉성군의 죽음에 관여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그럼에도 새로운 정치를 갈망하는 신진 사류들이 이황을 종주로 삼은 것은 어떻게 가능했을까? 첫째, 그가 훈척 세력에 맞선 인물이라는 이미지를 가졌기 때문인데, 그것은 그가 중년 이후 현실 정치에서 떠나고자 했던 일관된 의지의 효과라고 할 수 있다. 이황이 반복적으로 벼슬을 버리거나 받지 않은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현실 정치에 대한 불만과 염증, 나아가 저항의 표시로 받아들여질 수 있었다. 둘째, 이황이 젊은 사류들과 역사 인식을 공유했기 때문인데, 그는 무오사화는 물론 기묘사화 역시 현인과 군자가 화를 당한 사건으로 규정하였다. 이는 그가 신진 사림들과 사림이라는 정치적 기반을 같이하면서 정치적 동류의식을 공유했음을 함축한다. 셋째, 그의 학문적 성취 때문인데, 그의 학문적 성취는 한 마디로 사설邪說을 억누르고 정학正學, 다시 말해 주자학을 뿌리내리게 했다는 것으로 모아진다. 이황은 다양한 저술 작업을 통해 상산학, 양명학, 리기일물설 등 이단 내지 이설을 비판하였다. 이러한 비판 과정을 통해 리를 최고 범주로 하는 주희의 철학이 조선 도학의 주류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종합하자면, 이황이 사림의 종주로 자리매김 된 것은 연속된 사직과 출사 거부, 신진 사림들과 역사인식 및 정치적 동류의식의 공유, 그리고 이설 비판을 통한 주자학의 이론 정립 등이 주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인문과학대학 > 서울 철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Yong Hun photo

Kim, Yong Hun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PHILOSOPH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