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CT를 이용한 환추횡인대 골화증의 빈도와 연관 소견open accessOssification of the Transverse Ligament of the Atlas on CT: Frequency and Associated Findings

Other Titles
Ossification of the Transverse Ligament of the Atlas on CT: Frequency and Associated Findings
Authors
손석우류정아김태엽김성준이승훈
Issue Date
May-2020
Publisher
대한영상의학회
Keywords
Ligaments;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Spine
Citation
대한영상의학회지, v.81, no.3, pp.654 - 664
Indexed
SCOPUS
KCI
Journal Title
대한영상의학회지
Volume
81
Number
3
Start Page
654
End Page
66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45715
DOI
10.3348/jksr.2020.81.3.654
ISSN
1738-2637
Abstract
목적 경추 전산화단층촬영(cervical spine CT; 이하 C-spine CT)과 일반촬영을 이용하여 환추횡인대골화증(ossification of the transverse ligament of the atlas; 이하 OTLA)과 연관된영상 소견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11년간 3975명의 환자에게서 촬영한 5201개의 C-spine CT를 분석하여 OTLA의유무를 확인하였고, 이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그 빈도와 연관된 영상 소견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3975명 중 45명에서 OTLA가 확인되었다(1.1%). 그 빈도는 나이에 따라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으며(p < 0.005), 80세 이상인 환자의 12%에서 관찰되었다. 척수 공간(space available for spinal cord; 이하 SAC)은 OTLA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p < 0.005), 전방환추후두막(anterior atlantooccipital membrane)-Barkow 인대 복합체의 광물질침착(mineralization), 황색인대골화증(ossification of ligamentum flavum), 경추후만증또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005). 결론 OTLA는 환자의 나이, SAC 협소, 경추후만증, 다른 경추인대의 골화증과 연관되어 퇴행성 척추병증, 전신적인 골 과잉 상태, 혹은 기계적 스트레스나 불안정성에 관련이 있을 것으로생각된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의과대학 > 서울 영상의학교실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eunghun photo

Lee, Seunghun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RADI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