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수암 권상하 문하의심성 논쟁과 호학의 형성open accessDebates on Human Mind and Nature of Things in Suam(遂菴) Kwon Sangha(權尙夏) School and the Formation of Hohak(湖學)

Other Titles
Debates on Human Mind and Nature of Things in Suam(遂菴) Kwon Sangha(權尙夏) School and the Formation of Hohak(湖學)
Authors
김용헌
Issue Date
Feb-2020
Publisher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Keywords
호학; 호락논쟁; 수암 문하; 권상하; 한원진; 이간; Hohak; Kwon Sangha; Suam School; Han Wonjin; Yi Gan
Citation
동아시아문화연구, no.80, pp.143 - 172
Indexed
KCI
Journal Title
동아시아문화연구
Number
80
Start Page
143
End Page
17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46174
DOI
10.16959/jeachy..80.202002.143
ISSN
2383-6180
Abstract
이 논문은 호학(湖學)의 형성 과정을 추적하고 그 과정에서 있었던 이간 학설이 어떻게 배제되어갔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17세기 초반 호서 지역의 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 문하에서는 리기심성론의 세부적인 내용을 두고 논쟁이 시작되었다. 그 논쟁은 먼저 한원진과 최징후(崔徵厚)․한홍조(韓弘祚) 사이에서 시작되었으나 이간(李柬)이 한원진(韓元震)의 견해를 비판함으로써 논쟁의 구도가 한원진과 이간을 중심으로 재편되기 시작했고 논쟁의 쟁점도 점차 미발론과 인물성동이론 두 가지로 수렴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 논쟁 과정에서 변곡점이 된 것은 그들의 스승인 권상하의 개입이다. 권상하는 미발론과 인물성론 모두에서 한원진의 견해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제자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따르도록 적극적으로 권유하였다. 심지어 이간에게는 “한원진이 미발일 때 선악의 종자가 있다고 말한 것이 무슨 병통이 있기에 그처럼 꾸짖는가?”라고 하여, 그의 한원진 비판이 못마땅하다는 뜻을 분명히 하였다. 그 이후 호서 지역에서는 이간과 현상벽(玄尙璧) 등 일부를 제외하고 다수의 학자들이 인물성이론과 미발기질유선악론으로 기울어져 갔다. 이에 대해 이간은 “선생님의 말씀이 한 번 나오면 사방의 학자들이 그것을 확정된 이론으로 여긴다.”면서 경직된 학문 풍토를 비판했으나, 한원진의 견해가 수암 문하의 주류 학설, 즉 호학으로 자리 잡게 되는 대세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 결과 18세기 초반을 넘어서면서 심성 논쟁의 전선이 자연스럽게 호서의 학자들과 낙하의 학자들 사이에 형성되는데, 이것이 이른바 호락논쟁이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인문과학대학 > 서울 철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Yong Hun photo

Kim, Yong Hun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PHILOSOPH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