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아동학대행위자 및 학대피해아동 유형화 및 관계에 대한 연구- 잠재계층분석을 적용하여-open accessProfiles of Child Maltreatment Perpetrators and Maltreated Children - A Latent Class Analysis -

Other Titles
Profiles of Child Maltreatment Perpetrators and Maltreated Children - A Latent Class Analysis -
Authors
김세원이봉주김현수유조안이상균장화정
Issue Date
Nov-2019
Publisher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Keywords
아동학대; 행위자; 학대피해아동; 재발생; 잠재계층분석; child maltreatment; perpetrator; abused children; recurrence; latent class analysis
Citation
한국가족복지학, no.66, pp.115 - 146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가족복지학
Number
66
Start Page
115
End Page
14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46797
DOI
10.16975/kjfsw.2019..66.004
ISSN
1598-6403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학대행위자 및 학대피해아동 특성에 따라 유형화하고 학대재발생 및 유형 간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에 기록된 2012년- 2016년 간 학대사례 26,605건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대행위자는 ‘양육문제’ 집단(40.2%), ‘양육문제+스트레스+가정폭력’ 집단(15.6%), ‘가정폭력’ 집단(22.7%), ‘낮은 위험요인’ 집단(21.5%)과 같이 4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학대피해아동은 ‘낮은 문제행동’ 집단(74.3%), ‘외현화 문제’ 집단(8.1%), ‘내재화 문제’ 집단(10.3%), ‘비행+학교부적응’ 집단(7.3%)으로 구분되었다. 이와 같이 구분된 학대행위자 및 학대피해아동 집단에 따라 학대 재발생 분포는 다르게 나타났다. 학대행위자가 복합적인 문제를 경험하고 있거나 학대피해아동이 외현화 문제가 있는 경우 학대 재발생 가능성이 높았다. 한편, 학대행위자가 ‘양육문제’ 집단이나 ‘양육문제+스트레스+ 가정폭력’ 집단에 속해 있는 경우 학대피해아동은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집단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아동보호서비스에 대한 실천적 제안을 하였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교육대학원 > 서울 교육대학원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yun Soo photo

Kim, Hyun So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