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생존분석 개념을 이용한 입주예정물량 추정 방법론 연구A Methodology for the Estimation of the Quantity of Apartments Ready for Move-In via the Concept of Survival Analysis

Other Titles
A Methodology for the Estimation of the Quantity of Apartments Ready for Move-In via the Concept of Survival Analysis
Authors
지규현곽하영Lee, Chang Moo한제선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부동산연구원
Keywords
housing supply; uncertainty of housing market; quantity of apartment ready for move in; 주택공급; 주택시장 불확실성; 입주예정물량
Citation
부동산연구, v.29, no.4, pp.69 - 83
Indexed
KCI
Journal Title
부동산연구
Volume
29
Number
4
Start Page
69
End Page
8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48592
DOI
10.35136/krer.29.4.5
ISSN
2092-5395
Abstract
주택가격의 변화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나, 주택수요에 비해 주택공급은 상대적으로 비탄력적어서 주택가격의 변동성이 발생한다. 주택가격 변동성 증가는 사업자의 주택투자 시기를 지연시켜 시장에 원활한 주택공급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어, 주택가격 급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의 주요 원인 중에 하나는 주택공급에 대한 정보의 불확실성이다. 부동산 가격 안정과 미래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주택공급에 대한 정보를 시장에 확인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공동주택 입주예정 물량의 경우 민간 부동산 정보회사에서 정보를 제공하고는 있지만 공공에서 발표되고 있는 공식통계는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가 생산관리하고 있는 주택공급시스템(HIS)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공동주택의 개발에서 준공까지의 과정에 대한 추적을 통해 중장기 입주물량 추정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공동주택 입주예정물량 통계는 주택공급통계의 불확실성을 줄여 공급주체가 주택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주택시장 불확실성을 줄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공과대학 > 서울 도시공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Chang Moo photo

Lee, Chang Moo
COLLEGE OF ENGINEERING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