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공간계획요소별 디자인특성 연구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Multimedia Center in Public Library by Space Planning Elements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Multimedia Center in Public Library by Space Planning Elements
Authors
임은영황연숙
Issue Date
Apr-2018
Publisher
한국실내디자인학회
Keywords
공공도서관; 디지털환경; 디지털자료실; 실내디자인; Public Library; Multimedia Center; Digital Environment; Interior Design
Citati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27, no.2, pp.68 - 76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ume
27
Number
2
Start Page
68
End Page
7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50218
DOI
10.14774/JKIID.2018.27.2.068
ISSN
1229-7992
Abstract
공공도서관은 공공성을 기본 이념으로 디지털환경 안에서 자유롭게 정보를 습득하고 활용 가능하도록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디지털자료실을 여전히 PC 위주의 컴퓨터실 기능에 치우쳐 다양한 이용자들에게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즉, 디지털자료실의 효율적인 공간운용 및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 부족으로 인하여 이용자들은 단순히 PC이용을 위해서만 디지털자료실을 방문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공간계획요소들을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실내디자인 특성의 분석틀로 사용함으로서 보다 면밀한 사례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자료실의 가구는 디지털열람좌석의 보유현황에만 치중한 공간계획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가구계획은 이용자로 하여금 디지털자료실을 단순한 컴퓨터실로만 인지하여 실질적인 효율성을 저해할 수 있으며 가구의 형태 및 디자인에 있어서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디지털자료실의 실내색채는 색상 및 명도, 채도의 수치 차이가 크지 않은 사례가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배색관계는 온화하고 안정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반하여 이용자가 디지털자료실 내에서 공간의 깊이감이나 사물의 형태를 인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셋째, 디지털자료실의 공공안내사인에는 시인성을 높여줄 수 있는 조명계획이나 특화된 디자인 적용이 부족할 뿐 아니라 안내사인의 서체 및 배색, 레이아웃 등이 적합하지 않아 가독성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자료실 이용자들이 시지각적으로 빠르게 위치를 파악하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디지털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공공안내사인 디자인이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넷째, 디지털자료실에서 타 자료실과 차별화된 기술서비스 도입은 현재까지 미흡한 실정이며 안내데스크 공간과 디지털서비스 공간을 통해 이용자들의 디지털시설 이용안내 및 자료대출, 예약업무, 복사·프린트·스캔업무 등을 수행하는 데 그치고 있었다. 공공도서관에서 다양한 디지털서비스가 기술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PC의 획일화된 배치를 벗어나 디지털자료실 영역을 보다 넓게 인지하여 최첨단시설이 적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A public library is changing into a place where people can freely acquire and make use of information in digital environment with the basic ideology of publicity. In spite of such changes, multimedia center is still biased with the function of computer room to use PC and is not used actively by many users.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nd concluded as follow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data room of public library can make use of space planning elements by aspects as an analysis tool. First, designed characteristics focusing too much on the possession of seats for reading digital data. Therefore, spatial planning for users to choose necessar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data they wish to read and type of users is needed. Second, interior tone of multimedia center is applied with identical color for all floors, walls, and ceilings, to create sense of unification. However, due to the arrangement of similar colors, while using identical brightness and chroma, some users felt difficult to realize shape or depth in space. It is more appropriate to apply distinctive color pla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data or space region, in order to create pleasant digital environment for visually weaker people or elderly. Third, psychological or technical factors of multimedia center is not sufficiently applied in space planning elements for users. In order for various digital service of public library to be technically implemente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open space by expanding the size of multimedia center to utilize high-tech facilitie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생활과학대학 > 서울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wang, Yeon sook photo

Hwang, Yeon sook
COLLEGE OF HUMAN ECOLOGY (DEPARTMENT OF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