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중·고령자 가구의 소득의 특성이 주택소비규모에 미치는 영향: 공적연금수령유무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Influence of Elderly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Housing Consumption according to Public Pension Receipt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lderly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Housing Consumption according to Public Pension Receipt
Authors
정상준이창무신혜영
Issue Date
Mar-2018
Publisher
한국부동산연구원
Keywords
중⋅고령자가구, 가구특성, 주택소비, 공적연금; elderly household, household characteristics, housing consumption, public pension
Citation
부동산연구, v.28, no.1, pp.105 - 114
Indexed
KCI
Journal Title
부동산연구
Volume
28
Number
1
Start Page
105
End Page
11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50374
ISSN
2092-5395
Abstract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사회’에 들어섰고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 중·고령자 가구의 자산구조를 살펴본 연구에 따르면 총자산 대비 부동산자산의 비중은 약 73%로 부동산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은퇴 이후 생활비 확보를 위해 부동산자산을 유동화 시키는 경우 국내 주택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과거에는 공적연금이라는 수입이 수급액도 크지 않고 수급자수도 제한적이어서 일반적인 은퇴가구의 주 소득원이 되기는 어려웠으나 최근에는 공적연금 수급자가 점차 증가하여, 은퇴가구의 소득원의 역할을 해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는 노후에도 정기적인 소득원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므로 연금수령유무와 그 수령액을 분석에 추가하여 중·고령가구의 주거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제 3, 5차 국민노후보장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순자산, 가구주의 성별, 교육수준, 가구원수 등과 같은 변수는 이전의 연구들과 비슷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으며, 본 연구에서 변수로 추가한 연금과 같은 고정적인 수입 또한 주택소비규모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공과대학 > 서울 도시공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Chang Moo photo

Lee, Chang Moo
COLLEGE OF ENGINEERING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