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APC모형에 기초한 가구주율 분석An Analysis of Household Headship Rates based on APC Model

Other Titles
An Analysis of Household Headship Rates based on APC Model
Authors
곽하영유명한Lee, Chang Moo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주택학회
Keywords
Household Headship Rates; Age-Period-Cohort Model; Birth-Cohort Effect; Income; Housing Cost; 가구주율; APC 모형; 탄생코호트효과; 소득; 주거비용
Citation
주택연구, v.26, no.2, pp.133 - 162
Indexed
KCI
Journal Title
주택연구
Volume
26
Number
2
Start Page
133
End Page
16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50839
ISSN
1226-2676
Abstract
가구수와 구성추이를 나타내는 가구주율의 추세를 파악하는 것은 가구를 기본단위로 하는 주택수요 예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가구주율이 생애주기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질 뿐 아니라 탄생코호트별 편차가 존재하고 있음을 연령, 코호트, 시점을 상호통제한 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동시에 가구분화 행태가 구매력과 주택시장 내 가격변화와 같은 경제적 요인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측정하였다. 전체 가구주율의 코호트효과는 1926~35년생부터 1936~45년생에서의 정점까지 높은 수준을 보이다가 최근 코호트로 올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1936~45년생을 기점으로 동일 연령대에 진입시 그 직전 세대가 유지해오던 주택소요량에 미치지 못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남성의 경우 가구주율이 1936~45년생까지 상승패턴을 나타내다가, 이후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형태를 보였다. 여성은 1926~35년생에서 1차 정점을 보인 이후 1956~65년생까지 감소하였다가 다시 최근 코호트로 올수록 상승 추세를 보였다. 구매력과 주거비용은 전체 가구주율에 각각 양(+)과 음(-)의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남성의 가구주율에는 소득과 주거비용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낸 반면 여성의 경우 주거비용만이 유의한 음(-)의 효과를 보여 구매력 상승이 여성의 가구분화에 핵심적인 요인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구매력과 주택시장 변화가 시간효과를 설명하지 못하는 추정결과는 독립적인 주거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경제적 요소 이외에도 다른 사회ㆍ문화적 여건이 복합적으로 가구분화 변화를 야기시키고 있음을 시사한다. Identifying the headship rates that represent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composition trend is very important in predicting the housing demand based on the household.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headship rates depend not only on the life cycle and period effect, but also on the birth cohort effect using APC(Age-Period-Cohort) model. Also, we measured how the differentiation of households, which has been mainly discussed in terms of demography, is influenced by economic factors such as purchasing power and housing price. The cohort effect of total headship rates maintained a high level from 1926~35 cohort to the peak at 1936~45 cohort, and there was a steady decline in the subsequent cohorts. This suggests that when entering the same age bracket from 1936~45 cohort, there exists a decrease in the housing need levels comparing with the preceding generation. As for the gender, men increased until the peak cohort of 1936~45,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Women increased until the first peak at 1926~35 cohort, then decreased until 1956~65 cohort, and showed a rising trend toward the recent cohort. Purchasing power and housing cost have a positive (+) and negative (-) effect on the total headship rates. While income and housing prices have significant effect on male household differentiation, only housing price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female headship rates. The results that changes in purchasing power and housing market do not account for the time effect suggest that other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besides economic factors closely related to the independent housing lead to the changes of the household differentiat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공과대학 > 서울 도시공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Chang Moo photo

Lee, Chang Moo
COLLEGE OF ENGINEERING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