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신도시 공동주택 부대복리시설의 배치특성에 관한 연구A Study on Layout Characteristics of Subsidiary Welfare Facilities at Apartment Complexes in New Towns - Focused on Apartment Complexes in Second Phase New Towns -

Other Titles
A Study on Layout Characteristics of Subsidiary Welfare Facilities at Apartment Complexes in New Towns - Focused on Apartment Complexes in Second Phase New Towns -
Authors
문자영정유리황연숙
Issue Date
Jun-2017
Publisher
한국실내디자인학회
Keywords
공동주택; 부대복리시설; 배치유형; 배치특성; 신도시; Apartment Complexes; Subsidiary Welfare Facilities; Layout Types; Layout Characteristics; New Town
Citati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26, no.3, pp.81 - 90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ume
26
Number
3
Start Page
81
End Page
9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52191
DOI
10.14774/JKIID.2017.26.3.081
ISSN
1229-7992
Abstract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대도시의 인구집중현상으로 인해 도시 밀도 현상이 나타났고, 이는수도권 지역의 주택난 문제로 이어졌다. 이에 정부에서는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60년대부터 신도시 개발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이후 제 1기 신도시와 제 2기 신도시가 생겨나면서신도시에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조성하게 되었다. 특히 아파트 내 부대복리시설은 현대사회에서 커뮤니티의 중요성, 소비자의 의식수준 향상, 여가시간의 증가로 인한 문화생활 증진 등으로 거주자가 아파트를 이용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장소이자, 아파트를 구매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시설 중 하나이다. 신도시 아파트 내 부대복리시설의 현 경향에 대한 파악은앞으로 공동주택 내 부대복리시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예측하고, 보다 합리적인 시설 계획방향을 모색 할 수 있게 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 2기신도시 아파트 내 부대복리시설의 배치유형과 특성을 사례별로 조사하고, 그 현황 및 비교를분석하여 최근 부대복리시설의 경향을 살펴봄으로써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찾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은 시기가 비슷한 제 2기 신도시 3곳으로, 신도시별로 5 곳씩 총 15곳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사례방문, 사진촬영, 이용자의 관찰조사를 통해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대복리시설의 평면배치유형은 과거와 다르게 집중과 분산이 적절히 혼합된 혼합형이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시설이 기능과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입주민이 이용함에 있어 접근성과 형평성을 높일 수 있는 배치 형태로 입주민의 접근성과 형평성, 이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합리적인 배치·동선 계획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사료되었다. 둘째, 사례에서 보여 지듯이 경로당과 어린이집과 같은 사용자 특성에 따른 분산 배치는 특정이용자에 대한 배려와 함께 어느 정도 독립성은 줄 수 있지만 노인의 경우 소외감과, 입주민과의 커뮤니티가 부족 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실내형시설 배치방식은 기존 대도시 아파트와 다르게 단지의 지형 특성을 고려하여 단차를 두어 시설을 배치한 형태나 썬큰을 중심으로 지하공간에 설치하는 형태가 많은 것을 알수 있었다. 이는 신도시 아파트에서 볼 수 있는 특징적 요소이며, 따라서 입주민의 부대복리시설에 대한 접근성과 형평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단지 내 동선계획을 적절하게 강구하고, 단차를 활용한 공지의 계획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넷째, 실외형시설의 배치유형은 사례마다 시설에 차이가 있고, 모든 사례가 테마광장을 중심으로 한 분산형으로 파악되어 접근성과 형평성을 위한 적절한 균형이 이루어지는 방안이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지형적 특성을 적극 활용하면서 산책로와 실외 휴게시설을 늘리는 방안과 실외 운동시설과 놀이터를 단지 곳곳에 고르게 배치하여 접근성에 대한 형평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합리적인 공간의 활용이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생활과학대학 > 서울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wang, Yeon sook photo

Hwang, Yeon sook
COLLEGE OF HUMAN ECOLOGY (DEPARTMENT OF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