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러시아정교 - 이슬람 관계를 통해서 본 러시아 이슬람권 선교 전략에 대한 모색A Study on Mission Strategy in Muslim Areas in Russia Focused on Relations between Russian Orthodox and Islam

Other Titles
A Study on Mission Strategy in Muslim Areas in Russia Focused on Relations between Russian Orthodox and Islam
Authors
정세진
Issue Date
Nov-2016
Publisher
한국선교신학회
Keywords
러시아정교; 이슬람; 선교전략; 러시아; 오스만 튀르크; Russian Orthodox; Islam; mission strategy; Russia; Osman Turk
Citation
선교신학, no.44, pp.377 - 408
Indexed
KCI
Journal Title
선교신학
Number
44
Start Page
377
End Page
40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53583
DOI
10.14493/ksoms.2016.4.377
ISSN
1738-3447
Abstract
본고는 서로 이질적인 종교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지역, 즉 다민족, 다문화권에 대한 선교전략을 수립하고 시행할 때 그 민족 고유의 역사적, 정치적 상황을 면밀히 고찰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이 점은 특히 이슬람 선교에 더욱 중요하다. 피지배 민족의 역사 및 정치적 상황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도 주요한 선교전략 요소이지만, 지배민족인 러시아의 정신적, 종교적 정체성인 러시아정교에 대한 이해를 통해 다문화권 선교전략을 모색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연구 주제다. 이에 따라 본고는 비이슬람으로서 지배민족의 종교적 정체성과 이슬람 사이에 역사적, 정치적 관계를 파악하는 일에 집중하고자 한다. 본고는 러시아의 정복 대상지였던 이슬람권 지역에 대한 이해를 통해 러시아 지역에 대한 선교전략을 모색하며, 이를 위해 피지배 민족인 러시아연방 내 무슬림 민족들에 대한 역사적, 종교적 부분, 그 중에서도 러시아정교와 이슬람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고는 러시아권에서의 러시아정교와 이슬람의 역사적 이념을 러시아와 오스만 튀르크와의 역사적 관계를 통해서 규명하며, 소비에트 체제 이후 러시아정교와 이슬람의 관계를 통해 이를 강조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현재의 러시아연방 내에서 러시아정교도와 무슬림 간의 종교 정체성에 대한 기본적인 틀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러시아연방 내의 무슬림권에 대한 선교 전략을 도출하는 학적, 방법론적 내용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부설연구소 > 서울 아태지역연구센터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ung, Se Jin photo

Jung, Se Jin
RESEARCH INSTITUTE (ASIA PACIFIC RESEARCH CENTER)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