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수정 M-W모형을 이용한 축소도시(Shrinking City)의 주택수요분석An Analysis of Housing Demand in Shrinking Cities

Other Titles
An Analysis of Housing Demand in Shrinking Cities
Authors
임미화이창무
Issue Date
Mar-2014
Publisher
한국부동산연구원
Keywords
축소도시; 성장도시; 주택수요; 주택정책; 도시계획; 도시정책; shrinking city; growing city; housing demand; housing policy; urban planning; urban policy
Citation
부동산연구, v.24, no.1, pp.27 - 37
Indexed
KCI
Journal Title
부동산연구
Volume
24
Number
1
Start Page
27
End Page
3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60434
ISSN
2092-5395
Abstract
그동안의 고성장 인구증가시대에서의 공급량만을 늘리는 주택정책은 출생률감소와 인구의 고령화, 그리고 가구분화로 인한 1, 2인 가구의 증가와 같은 최근의 사회현상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주택정책은 인구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정책이다. 그렇다면 지금과 같이 인구증가율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도시가 아닌 중⋅소도시의 도시계획 방향은 무엇일까? 구체적으로 대도시와 달리 인구가 감소 또는 정체되고 있는 도시의 주택정책은 대도시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의 주택수요를 분석하되, 인구가 증가하는 성장도시(Growing City)와 인구가 감소 또는 정체되고 있는 축소도시(Shrinking City)의 주택수요를 비교함으로서 주택정책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경제 활력이 성장도시보다 떨어지는 축소도시의 경우 가구의 주택소비가 정점에 이르는 연령대가 60대 후반으로, 성장도시는 80대 초반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소득, 자산과 같은 경제변수와 가구주나이 65세 이상의 고령 1, 2인 가구더미와 청년 1, 2인 가구더미를 추가한 분석에서 축소도시는 약 5년에서 10년 정도 빠른 50대에, 성장도시는 약 20년에서 25년 정도 앞당겨진 5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에 최대 주택수요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65세 이상의 고령 1, 2인 가구 또는 청년 1, 2인 가구의 비율이 주택수요를 왜곡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도시의 인구 및 경제학적 특성에 따라 가구의 주택수요가 차별화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경제 확장기에서 바라보았던 도시정책 그리고 주택수요정책을 이제는 개별도시의 인구 및 경제구조여건에 맞추어 재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공과대학 > 서울 도시공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Chang Moo photo

Lee, Chang Moo
COLLEGE OF ENGINEERING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