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국내 MBS 조기상환위험의 영향변수에 관한 연구:VEC 모형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Prepayment Risk Variables in Korean MBS Market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epayment Risk Variables in Korean MBS Market
Authors
박동규김동환
Issue Date
Dec-2013
Publisher
한국부동산연구원
Keywords
벡터오차수정모형; 조기상환위험; 주택저당채권; 주택담보대출; vector error correction(VEC) model; prepayment risk; mortgage backed securities; mortgage loan
Citation
부동산연구, v.23, no.3, pp.157 - 179
Indexed
KCI
Journal Title
부동산연구
Volume
23
Number
3
Start Page
157
End Page
17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61213
ISSN
2092-5395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주택금융공사가 공시하는 2004년 6월부터 2012년 10월 동안 MBS 자료를 바탕으로 조기상환율의 영향변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기상환율에 대한 영향변수로 금리, 부동산 경기, 건설 경기, 거시 경기를 도출하고 각각의 대용변수로 모기지 금리, 아파트경매 매각가율, 건설업종 BSI 지수, 실업률을 선정하였다. 공적분 검정과 벡터오차수정모형(Vector Error Correction Model)의 충격반응분석과 예측오차분산분해 분석을 통해 조기상환율과 영향변수 간의 동태적 상관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조기상환율에 대해 모기지 금리는 음(-), 아파트경매 매각가율은 양(+), 건설업종 BSI 지수는 양(+), 실업률은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단기적으로는 모기지 금리, 장기적으로는 실업률이 조기상환율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놓고 볼 때, 국내에서도 미국이나 중국과 동일하게 금리에 대한 차환유인이 존재하지만 거시적인 변수의 영향 면에서 국내 모기지론 시장은 미국보다 중국과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국내 모기지론 시장에서는 주택에 대한 투기적 요인이 존재하지만 금리나 실업률에 비해 조기상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경영대학 > 서울 경영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Tong Kyu photo

Park, Tong Kyu
SCHOOL OF BUSINESS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